본문 바로가기

사회이슈

순살아파트 HDC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재시공

반응형

 

 

 

무너진 광주화정 아이파크 섬네일
부실공사로 무너진 광주화정 아이파크 사진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사고

 

 

2022111일 오후 346

광주광역시 서구에서 건축 중이던 현대산업개발의 아이파크 아파트 외벽이 붕괴되는 어처구니없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사고 당시 건물에서 작업 중이던 인부 6명이 잔해에 깔려 사망하는 끔찍한 사건이었습니다.

 

 

해당 건물은 건설 초기부터 지반침하를 비롯한 많은 문제들이 반복되었고 건설 중이던 3년간3 수차례 민원이 제기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민원을 처리해야 하라 공무원들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 ‘법률적으로 할 수 있는게 전무하다.’, ‘대형 건설사고 관리가 잘 되고 있어서 문제없다.’라는.’ 말로 제기된 민원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고 결국 일렬의 사태가 발생하고 말았습니다.

 

 

이미 예고된 사고였고 인재라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실재로 당시 건설현장은 건설이 시작된 지 33년여 동안 행정처분 13건과 과태료 14번의 처분을 받았다고 합니다.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원인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던 현장이었기 때문에 특정 한두 가지 원인이 아닌 여러 가지 복합적인 이유로 건설 중 붕괴라는 황당한 후진국형 사고가 일어났다고 판단됩니다.

 

 

사고 발생 초기 공사장 옥상의 타워크레인이 무너지면서 아파트 건물 외벽과 출돌해 붕괴가 발생했다고 이는 나중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토교통부 사건조사 광주화정 아이파크 붕괴원인
국토교통부 사건조사 광주화정 아이파크 붕괴원인

 

 

즉 원인은 무리한 공기와 일정, 불량 콘크리트 사용과 철근누락, 철근배근누락, 제대로된 양생 없이 건설진행, 설계상문제, 건설능력부족, 관련 기관과 공무원의 관리감독소홀(돈으로 로비를 했을 텐데 기사에는 나오지 않네요)등 부실 백화점이라는 말이 떠오를 정도로 총채적 난국이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특히 붕괴 현장에서 생선 뼈를 발라낸 것처럼 깨끗하게 드러난 철근의 모습에 콘크리트 양생과 강도, 철근배근누락, 콘크리트강도문제등 대한민국 1군 건설사가 돈이라는 이익을 위해서 사람의 목숨을 담보로 중국에서나 볼법한 불법건축을 자행했다는데 많은 사람들이 분노를 느꼈습니다.

 

 

특히 추후 밝혀진 바에 따르면 콘크리트 양생을 하는 동안 보조 지지대인 동바리를 설치하게끔 규정되어 있지만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고 무리한 공기일정을 위해서 안전을 등한시한 사항이나 건물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는 내력벽을 설계도와 달리 일반 가벽으로 건설했고 설계와 달리 옥상 피트층 두께도 임의로 두껍게 변경하는 등 애초부터 현대산업개발은 이익을 위해서 불량제품을 만들었고 소비자에게 비싼 가격에 불량품을 팔 기 위한 파렴치한 기업으로 낙인이 찍히게 되었습니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추락

 

이미 202169일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에서 현대산업개발이 철거 중이던 건물이 붕괴되는 사고가 터진 상황이었고 불과 77개월 만에 더 큰 사고가 터지면서 현대산업개발과 해당 업체의 고급 아파트 브랜드인 아이파크의 이미지는 나락을 떨어지게 됩니다.

 

 

덕분에 기존 아이파크라는 브랜드 아파트에서 거주 중인 입주민들은 사이에서 아파트 이름에서 아이파크를 빼거나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HDC현대산업개발 주식차트
나락에서 회북불가 HDC현대산업개발 주식차트

 

특히 기업의 지표를 나타내는 주식시장에서 현대산업계발은 20181주당 최고 72,228원을 경신한 이후로 현재는 9천원~1만원극초반의 가격으로 주식가격이 나락으로 떨어졌고 여전히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HDC현대산업개발의 꼼수, 하지만...

 

 

현대산업계발은 붕괴사고 직후 전면 재시공을 약속하며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서 안간힘을 쏟았습니다.

 

 

그리고 들끓던 여론도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 잠잠해진 듯 보였죠.

 

 

그러나 현대산업개발은 주거층만 철거하면 된다는 꼼수를 사용했고 입주예정자의 거센 반발을 불러왔지만 언론에서 제대로 다루지 않아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듯 보였습니다.

 

 

하지만 갑자기 GS건설 아파트 주차장 붕괴사고부터 LH공사의 철근누락, 순살아파트등의 대형 사건이 터지면서 결국 잠잠했던 화정 아이파크 붕괴사건과 연관이 되면서 결국 상가, 주거층등 현존 지상층의 구조물을 전면 철거, 재시공을 할 수 밖에 없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아파트 건설 방법 - 순살아파트 무량판 공법과 벽식,기둥식

아파트의 구조 대한민국에서 가장 보편적인 주거형태 중 하나인 아파트는 보통 3가지 공법 중 하나를 선택해서 건설되게 됩니다. 3가지의 구조는 벽식구조, 기둥식 구조, 무량판 구조이며 각각

naver-knowledgein.tistory.com

 

 

 

 

무량판구조 아파트의 위험성

지식인 질문 아파트 건축구조에 저렇게 써있으면 지금 이슈되는 무량판구조인건가요? 철근이 누락된건 안전진단을 받지 않는이상 알 밥법은 없는건가요? LH아파트 살고 있는데 불안하네요. 철

naver-knowledgein.tistory.com

 

 

 

현대산업개발의 부실공사 내용으로 봤을 때 지하층까지 전면 재시공해야 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데 현대산업개발은 더 큰 피해를 줄이고자 결국 원안대로 지상층 전면 재시공이란 카드를 꺼내어 회사의 손실을 최대한 줄이고자 하는 듯 느껴지네요.

 

 

결국 아파트 붕괴이후 549549일 만에 아파트 해제 공사가 착수되었고 입주예정자들의 피해보상과 공사비용은 더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물론 위에도 언급한 것처럼 지하층까지 전면 재시공할 경우 손실액이 상상 이상으로 커지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식의 원안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모습에서 역시 믿을 수 없는 건설사라는 부정적인 모습을 보였다는 게 참 안타깝습니다.

 

 

 

 

 

 

 

새로지으면 안전할까?

 

솔직히 재시공을 한다고 해도 천문학적인 손실금을 감당하기 위해서 최대한 빨리 철거하고 건물을 올려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또다시 다른 대형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까지 우리에게 보여왔던 현대산업개발은 결국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각종 불법적인 짓을 아무렇지도 않게 벌여온 나쁜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재시공된 아파트가 과연 제대로 건설될지도 장담할수 없기에 앞으로 철저하게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부디 광주화정 아이파크가 철거와 건설이 제대로 진행되어 다시는 이런 사태가 벌어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현대산업개발에서 건설한 아파트는 쳐다도 안 볼 듯하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