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도 미분양 아파트 현황(2025년 01월 31일 기준) - 경기도 지역별 시장 분석 및 주요 미분양 단지

홀로지식 2025. 3. 24.
반응형

 

경기도 지도를 이용한 섬네일
섬네일

경기도 미분양 아파트 개요

이번 포스팅은 경기도청의 최신 자료('25. 0131일 기준)를 바탕으로 경기도 아파트 시장 분석을 종합하여 경기도 내 미분양 아파트 현황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2025131일 기준 경기도의 총 미분양 아파트 수는 15,135세대이며, 이 중 준공 후 미분양은 2,088세대입니다.

 

 

 

 

경기도 민간/분양 미분양주택 현황 (총괄)

시군별 전월대비
미분양
증감현황
민간 분양 주택('25. 0131일 기준) 민간 분양 주택('24. 1231일 기준)
전용 40이하 전용 40-60 전용 60-85 전용 85초과 전용 40이하 전용 40-60 전용 60-85 전용 85초과
경기도 2,181 15,135 494 1,298 11,771 1,572 12,954 496 1,218 10,128 1,112
수원시 -39 236 0 0 236 0 275 0 0 275 0
용인시 -5 524 250 22 240 12 529 252 18 246 13
고양시 9 191 4 0 184 3 182 4 0 173 5
성남시 0 61 7 48 6 0 61 7 48 6 0
화성시 33 238 146 31 56 5 205 146 31 23 5
부천시 -13 185 0 67 118 0 198 4 76 118 0
남양주시 -4 344 0 146 10 188 348 0 152 11 185
안산시 0 0 0 0 0 0 0 0 0 0 0
평택시 2,367 6,438 0 576 5,031 831 4,071 0 389 3,387 295
안양시 -22 273 4 226 43 0 295 0 233 62 0
시흥시 0 28 0 23 5 0 28 0 23 5 0
김포시 -15 238 0 0 227 11 253 0 0 236 17
파주시 0 1 0 0 0 1 1 0 0 0 1
의정부시 -27 513 83 21 213 196 540 83 21 239 197
광주시 217 899 0 0 856 43 682 0 0 676 6
광명시 -32 328 0 0 258 70 360 0 0 285 75
하남시 0 2 0 0 0 2 2 0 0 0 2
군포시 0 0 0 0 0 0 0 0 0 0 0
오산시 -654 340 0 0 327 13 994 0 106 874 14
양주시 0 730 0 0 730 0 730 0 0 730 0
이천시 -38 1,873 0 0 1,846 27 1,911 0 0 1,879 32
구리시 0 0 0 0 0 0 0 0 0 0 0
안성시 -28 553 0 0 551 2 581 0 0 579 2
의왕시 0 0 0 0 0 0 0 0 0 0 0
포천시 0 123 0 68 55 0 123 0 68 55 0
양평군 -2 147 0 30 117 0 149 0 30 119 0
여주시 0 6 0 0 0 6 6 0 0 0 6
동두천시 0 137 0 8 129 0 137 0 8 129 0
과천시 0 0 0 0 0 0 0 0 0 0 0
가평군 434 686 0 32 527 127 252 0 15 15 222
연천군 0 41 0 0 6 35 41 0 0 6 35

 

 

 

 

경기도 민간/분양 미분양주택 현황(준공후)

시군별 전월대비
미분양
증감현황
민간 분양 주택('25. 01월 31일 기준) 민간 분양 주택('24. 12월 31일 기준)
전용 40이하 전용 40-60 전용 60-85 전용 85초과 전용 40이하 전용 40-60 전용 60-85 전용 85초과
경기도 2,181 15,135 494 1,298 11,771 1,572 12,954 496 1,218 10,128 1,112
수원시 -39 236 0 0 236 0 275 0 0 275 0
용인시 -5 524 250 22 240 12 529 252 18 246 13
고양시 9 191 4 0 184 3 182 4 0 173 5
성남시 0 61 7 48 6 0 61 7 48 6 0
화성시 33 238 146 31 56 5 205 146 31 23 5
부천시 -13 185 0 67 118 0 198 4 76 118 0
남양주시 -4 344 0 146 10 188 348 0 152 11 185
안산시 0 0 0 0 0 0 0 0 0 0 0
평택시 2,367 6,438 0 576 5,031 831 4,071 0 389 3,387 295
안양시 -22 273 4 226 43 0 295 0 233 62 0
시흥시 0 28 0 23 5 0 28 0 23 5 0
김포시 -15 238 0 0 227 11 253 0 0 236 17
파주시 0 1 0 0 0 1 1 0 0 0 1
의정부시 -27 513 83 21 213 196 540 83 21 239 197
광주시 217 899 0 0 856 43 682 0 0 676 6
광명시 -32 328 0 0 258 70 360 0 0 285 75
하남시 0 2 0 0 0 2 2 0 0 0 2
군포시 0 0 0 0 0 0 0 0 0 0 0
오산시 -654 340 0 0 327 13 994 0 106 874 14
양주시 0 730 0 0 730 0 730 0 0 730 0
이천시 -38 1,873 0 0 1,846 27 1,911 0 0 1,879 32
구리시 0 0 0 0 0 0 0 0 0 0 0
안성시 -28 553 0 0 551 2 581 0 0 579 2
의왕시 0 0 0 0 0 0 0 0 0 0 0
포천시 0 123 0 68 55 0 123 0 68 55 0
양평군 -2 147 0 30 117 0 149 0 30 119 0
여주시 0 6 0 0 0 6 6 0 0 0 6
동두천시 0 137 0 8 129 0 137 0 8 129 0
과천시 0 0 0 0 0 0 0 0 0 0 0
가평군 434 686 0 32 527 127 252 0 15 15 222
연천군 0 41 0 0 6 35 41 0 0 6 35

 

 

 

 

1위 평택시(총 6,438세대, 전월 대비 +2,367세대)

1) 주요 미분양 단지

신영지웰 평택 화양

- 999세대 중 869세대 미분양(준공 전)

- 화양지구 과잉 공급 및 시장 침체 영향

 

평택 브레인시티 중흥 S 클래스

- 600세대 이상 미분양(준공 전)

- 산업단지 활성화 지연 및 높은 분양가 추정

 

 

2) 시장 분석

평택시는 삼성전자 투자 등 개발 호재에도 불구하고, 산업단지 조성 속도와 주택 공급 속도 불균형으로 인해 미분양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미분양 증가는 지역 내 다른 주택 가격 하락을 유발하고 부동산 침체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2위 이천시(총 1,873세대, 전월 대비 -38세대)

1) 주요 미분양 단지

이천 롯데캐슬 센트럴 페라즈 스카이

- 801세대 중 640세대 미분양(준공 전)

- 높은 분양가 및 금리 인상 영향 추정

 

  이천 부발역 피트

-  400세대 이상 미분양(준공 전)

 

이천 서희 스타힐스

- 미분양 존재(신고 안함)

 

이천 자이 더 레브  

- 미분양 존재(신고 안함)

 

 

2) 시장 분석

이천시는 SK하이닉스 효과에도 불구하고, 미분양 적체가 집값 하락으로 이어지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3위 화성시(총 1,565세대, 전월 대비 +332세대, 준공 후 미분양 205세대)

1) 주요 미분양 단지

화성조암 스위트

- 224세대 중 51세대 준공 후 미분양

- 외딴 입지 조건 및 낮은 청약 경쟁률

 

 

2) 시장 분석

동탄신도시와 달리 외곽 지역은 기반 시설 부족 등으로 미분양 문제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4위 광주시(총 899세대, 전월 대비 +217세대, 준공 후 미분양 60세대)

1) 주요 미분양 단지

힐스테이트 광주 곤지암역

- 635세대 중 369세대 미분양(준공 전)

- 주변 시세 대비 높은 분양가 추정

 

광주태전 경남아너스빌 미드

- 404세대 중 167세대 미분양(준공 전)

 

 

2) 시장 분석

광주시는 2021년 이후 주택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며 미분양 주택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과잉 공급 구조 해결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5위 안성시(총 553세대, 전월 대비 -28세대)

1) 주요 미분양 단지

안성 당왕 경남아너스빌 하이스트

- 976세대 중 422세대 미분양(준공 전)

- 신규 택지지구 수요 부족 추정

 

안성 하우스토리 퍼스트 시티

- 200세대 이상 미분양(준공 전)

 

 

2) 시장 분석

안성시는 미분양 적체가 심화되면서 집값 하락폭도 큰 지역 중 하나입니다.

 

 

 

 

6위 남양주시(총 440세대, 전월 대비 -43세대, 준공 후 미분양 221세대)

1) 주요 미분양 단지

마석역 극동 스타클래스 더 퍼스트

- 138세대 중 131세대 미분양 (준공 전)

- 높은 분양가 및 낮은 청약 경쟁률

 

 

2) 시장 분석

남양주시는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주택 공급이 크게 늘어난 지역입니다.

 

아파트 공급 과잉이 미분양의 한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7위 용인시(총 425세대, 전월 대비 -55세대, 준공 후 미분양 97세대)

1) 주요 미분양 단지

뚜렷하게 심각한 미분양 아파트는 없습니다.

 

현재 빠르게 미분양 물량이 소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 시장 분석

용인시는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및 GTX-A 노선 개통 등 개발 호재로 인해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 분위기는 긍정적인 편입니다.

 

미분양 감소 추세도 이를 뒷받침합니다.

 

 

 

 

8위 고양시(총 401세대, 전월 대비 +9세대, 준공 후 미분양 62세대)

1) 주요 미분양 단지

휴먼빌 일산 클래스 1

- 529세대 중 360세대 이상 미분양 (준공 전)

- 일산신도시 노후화 및 신규 공급 부담 추정

 

 

2) 시장 분석

일산신도시는 분당 등 다른 1기 신도시에 비해 회복이 더딘 편입니다.

 

 

 

 

9위 의정부시(총 383세대, 전월 대비 -27세대, 준공 후 미분양 106세대)

1) 주요 미분양 단지

의정부 롯데캐슬 나리 백 시티

- 671세대 중 380세대 미분양(준공 전)

- 높은 분양가 및 입지 선호도 영향 추정

 

힐스테이트 탑석

- 미분양 존재

 

의정부 푸르지오 클라시엘

- 미분양 존재

 

 

2) 시장 분석

의정부시는 경기 북부 지역의 부동산 시장 상황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10위 수원시(총 360세대)

1) 주요 미분양 단지

뚜렷하게 눈에 띄는 미분양 단지는 없습니다.

 

 

2) 시장 분석 수

원시는 최근 부동산 시장 회복세에 힘입어 미분양 물량이 비교적 적고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결론

이번 포스팅을 통해 경기도 내 미분양 아파트 현황을 더욱 자세히 분석하고, 각 시도별 시장 상황과 주요 미분양 단지에 대한 정보를 알렫렸습니다.

 

평택시의 미분양 문제가 가장 심각하며, 이천시, 화성시, 광주시 등에서도 상당한 미분양 물량이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분양 증가는 부동산 시장 침체의 주요 지표 중 하나이며, 이는 지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향후 금리, 정부 정책, 지역 개발 호재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기도 부동산 시장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할 것입니다.

 

 

2025년 아파트 미분양 쓰나미, 현실과 해법 모색 2025년 대한민국 주택 시장 심층 보고서

주택시장 심층 분석 2025년 현재, 대한민국 주택시장은 심각한 미분양 문제와 건설 경기침체라는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미분양 쓰나미 덮치나?’, ‘아파트 분양시

naver-knowledgein.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