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의 개인 정보 개정 정책 하지만 여전히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최근 DeepSeek 개인 정보 정책 개정에 대해서 작성함. 변경 전 정책과 개정된 정책을 비교 분석하고, 적용 국가 및 잠재적 위험 요인까지 자세히 작성해 봄
DeepSeek 개인 정보 정책 개정(최초 내용과 개정 내용 비교)
DeepSeek의 개인 정보 정책 개정은 다음과 같은 핵심 변화를 포함하고 있음
1. 데이터 수집 범위
• 최초 정책
- 키보드 패턴과 같은 구체적인 행동 데이터, 사용자 ID, 기기 정보, 네트워크 데이터, 위치 정보, 사용자 입력, 오류 및 디버그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메타데이터, 결제 정보, 광고 데이터 등 매우 광범위하고 민감한 개인 정보를 수집한다고 명시했음
• 개정 정책
- 개정된 정책에서도 여전히 광범위한 데이터 수집을 명시하고 있지만, 실제 테스트 결과 키보드 패턴, 결제 정보, 광고 데이터 등 일부 민감 정보는 실제로 수집되지 않는 것으로 변경
- 하지만 정책 자체는 여전히 실제 수집 데이터보다 더 넓은 범위를 포괄적으로 기술하고 있어, 잠재적인 개인정보 과잉 수집 우려를 남기고 있는 상황
2. 데이터 사용 목적
• 최초 정책
- AI 모델 학습 및 개선, 상업적 목적 (광고 등) 데이터 활용 가능성을 명시
- 데이터의 상업적 이용에 대한 우려를 낳았음
• 개정 정책
- 모델 학습 및 개선 외 데이터 익명화를 강조
- 보안 및 연구를 우선순위로 둔 OpenAI와 비교했을 때 여전히 상업적 데이터 활용에 더 큰 비중을 두는 것으로 분석됨
3. 사용자 데이터 통제 및 투명성
• 최초 정책
-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 수정, 삭제 권한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나 정보가 미흡했음
- 데이터 삭제 요청, 데이터 보관 기간, 행동 추적 옵트아웃 등에 대한 명확한 정보 부재
- 사용자 통제 및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됨
• 개정 정책
- 정책 변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용자 데이터 통제 및 투명성 확보를 위한 뚜렷한 개선은 확인되지 않고 있음
- 데이터 삭제, 관리, 옵트아웃 관련 여전히 모호한 부분이 남아있는 상황
- 사용자 불안감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
개인 정보 정책 적용 국가 및 미적용 국가 비교
DeepSeek AI는 중국 기업으로, 사용자 데이터가 중국 서버에 저장된다는 점이 주요 쟁점
데이터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우려로 인해 일부 국가 및 기관에서는 DeepSeek AI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는 상황
차단 및 사용금지 국가는 다음의 출처에서 확인
출처 : CNA , The Economic Times
• 이탈리아 (CNA 참고)
- 데이터 보호 당국이 개인 정보 사용에 대한 불충분한 정보 제공을 이유로 DeepSeek AI 차단
• 대만 (CNA 참고)
- 정부 부처의 DeepSeek AI 서비스 사용 금지
- 중국 기업이라는 점을 보안 문제로 지적
• 호주 (CNA 참고)
- DeepSeek AI 앱 사용 금지
• 네덜란드(CNA 참고)
- 공무원의 업무용 DeepSeek AI 사용 금지
- 민감 정보의 중국 서버 유출 우려
• 미국 (The Economictimes 참고)
- 미국 의회, 해군 등 정부 기관에서 DeepSeek AI 사용 제한
• 인도(The Economictimes 참고)
- 인도 재무부, 정부 데이터 보호를 위해 AI 도구 사용 자제 권고
• 한국 (CNA 참고)
- 한국 정보기관, DeepSeek AI의 과도한 개인 정보 수집 주장 및 차단, 차단권고
• 개인 정보 정책 적용 국가
- DeepSeek의 개인 정보 정책은 전 세계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적용
- 하지만 위에 언급된 국가들을 포함하여, GDPR, CCPA, HIPAA, FERPA 등 각 국가 및 지역별 개인 정보 보호 규정을 준수해야 할 의무를 지님
• 개인 정보 정책 미적용 국가
- 특정 국가에 개인 정보 정책이 적용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중국 데이터 관련 법률 및 정부의 데이터 접근 요구 가능성은 여전히 DeepSeek AI 사용에 대한 잠재적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개인 정보 정책 개정에도 불구하고 잠재적인 위험 요인
DeepSeek의 개인 정보 정책 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잠재적 위험 요인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
1. 중국 데이터 보안 및 정부 접근 우려
- DeepSeek는 중국 기업이며, 중국의 데이터 관련 법률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중국 정부 기관에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음
- 이는 사용자 데이터의 검열, 감시, 유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게 되는 아주 중요한 요인
- DeepSeek의 서버가 중국에 위치
- 중국 정부의 사이버 보안 및 정보 통제 정책이 강화되는 추세
- 사용자 데이터의 안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는 상황
2. 취약한 보안 및 기술적 문제
- DeepSeek 안드로이드 앱에서 취약한 암호화 알고리즘 (3DES), 하드 코딩된 키 사용 등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음
- 이는 데이터 유출, 무단 접근 등 보안 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이게 되는 요인(SSOJet 참고)
- DeepSeek iOS 앱에서도 안전하지 않은 데이터 전송, 하드 코딩된 키, ByteDance와 같은 제삼자3 데이터 공유 등 보안 및 개인 정보 침해 위험이 지적되었습니다.(NowSecure 참고)
3. 불투명한 데이터 활용 및 사용자 통제 부족
- DeepSeek의 개인 정보 정책은 여전히 데이터 수집 및 활용 범위에 대해 모호하고 광범위하게 기술돼있음
-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움
- 데이터 활용 방식에 대한 투명성이 부족
- 사용자 데이터 삭제, 데이터 보관 기간 설정, 행동 추적 옵트아웃 등 사용자 데이터 통제 권한 행사를 위한 구체적인 절차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정보를 스스로 관리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수준
4. 지적 재산권 및 규정 준수 문제
- DeepSeek의 지적 재산권 관련 약관이 모호하고 상충되는 부분이 있어, 기업 사용자의 경우 법적 리스크 발생 가능성이 존재(Office of Innovative Technologies 참고)
- DeepSeek 사용으로 인해 GDPR, CCPA, HIPAA, FERPA 등 개인 정보 보호 규정 위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특히 기업 환경에서 DeepSeek AI를 사용할 경우, 데이터 규정 준수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함(Office of Innovative Technologies 참고)
- 출처 : Office of Innovative Technologies
딥시크 개인정보 정책 개정과 관련된 결론
결론적으로, DeepSeek의 개인 정보 정책이 일부 개선되었을 수 있지만, 중국 정부의 데이터 접근 가능성, 보안 취약점, 불투명한 데이터 활용, 사용자 통제 부족 등 잠재적인 위험 요인들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
DeepSeek AI를 사용할 때는 이러한 위험 요인들을 충분히 인지하고,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
특히 민감 정보나 기업 기밀 정보를 DeepSeek AI와 공유하는 것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함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게 좋을 듯
※ 위 내용은 2025년 2월 15일 기준으로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작성었고 개인정보 보호정책 및 보안 위험은 변경될 수 있음
딥시크 한국 서비스 전면 중단 개인정보 무단수집 및 틱톡 전송 키보드 패턴 수집 딥시크를
중국 AI 챗봇 딥시크, 개인정보 유출로 한국 서비스 전면 중단 2025년 2월 17일, 대한민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는 중국 AI 기업 '딥시크'가 개발한 AI 챗봇 서비스 '딥시크'의 한국 내 서
naver-knowledgein.tistory.com
중국 AI 딥시크(DeepSeek) 개인정보 유출 문제 딥시크 사용하면 위험한 이유 수집된 개인정보를
딥시크(DeepSeek)란? 간단하게 중국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AI 프로그램 미국의 대중국 무역 수출 규제속에서도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최신 모델에 비해 사양이 떨어지는 구형 제품을 이용해서 현존
naver-knowledgein.tistory.com
이탈리아, 미국 딥시크(DeepSeek) 사용 차단 유럽연합(EU), 미국의 개인 정보 보호 강화, 데이터 주
딥시크 관련 논란 중국의 인공지능 AI 스타트업 기업 ‘환팡퀀트’에서 한국원화 기준 81억 원으로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AI를 만들어 내면서 전 세계는 충격에 휩싸임 특히 인공지능 AI를 구축
naver-knowledgein.tistory.com
딥시크 접속 차단 관련 대한민국 대응 분석 딥시크의 위험성 및 중국과의 관계 전망
대한민국 정부, 딥시크 접속 차단 - 민간도 '금지령' 확산 중국 AI 딥시크의 데이터 보안 문제점과 위험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탈리아와 미국을 시작으로 2025년 2월 5일, 대한민국 정부 역시 정부
naver-knowledgein.tistory.com
'모바일IT기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16e 다운그레이 숨겨진 의도? 전작 비교 분석 - 기능, 성능, 가격 (3) | 2025.02.20 |
---|---|
딥시크 한국 서비스 전면 중단 개인정보 무단수집 및 틱톡 전송 키보드 패턴 수집 딥시크를 이용한 중국의 야욕 (3) | 2025.02.18 |
딥시크 접속 차단 관련 대한민국 대응 분석 딥시크의 위험성 및 중국과의 관계 전망 (4) | 2025.02.06 |
DeepSeek Controversy: Unpacking the Global Concerns Around China's AI Rise (2) | 2025.02.04 |
이탈리아, 미국 딥시크(DeepSeek) 사용 차단 유럽연합(EU), 미국의 개인 정보 보호 강화, 데이터 주권 경쟁 심화 (3) | 2025.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