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四柱八字) 기본 개념
▪ 사주팔자는 사주명리학(四柱命理學)의 기본 개념
▪ 사주(四柱)에서 사(四)는 숫자 4, 즉 4개를 의미함
▪ 사주(四柱)에서 주(註)는 기둥주, 즉 기둥을 의미함
▪ 사주팔자(四柱八字)는 한 사람을 이루는 네 개의 기둥, 여덟 글자라는 뜻
▪ 인간이 태어난 년(年), 월(月), 일(日), 시(時)와 그에 해당하는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성질과 기운으로 사람의 성향, 성격, 운명을 예측하는 것이 사주팔자(사주, 팔자, 사주팔자 모두 같은 의미)
▪ 흔히 사용되는 사주팔자는 명리학을 통칭하는 경우가 많고 단순하게 사주팔자=명리학으로 이해해도 큰 무리가 없음
사주팔자(四柱八字) 만세력(萬歲曆)
▪ 사주팔자를 볼 때 사용하는 달력
▪ 년주(年註), 월주(月註), 일주(日註), 시주(時註)를 간지(干支)로 나타냄
▪ 각 주(柱)마다 하늘(天)이 하나 있고 땅(地)을 의미하는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로 나뉨
▪ 하늘은 간(干)자를 붙여서 연간(年干), 월간(月干), 일간(日干), 시간(時干)으로 지칭함
▪ 땅은 지(支)를 붙여서 년지(年支), 월지(月支), 일지(日支), 시지(時支)라고 지칭함
▪ 4주(四柱)에 각 주(柱)마다 하늘과 땅이 있으니, 4 ×2=8 총글자의 수가 8개이고 이곳에서 파생되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말인 팔자는 이 여덟 개의 글자를 가리키는 팔자(八字)란 단어임
일주론(日註論)
▪ 인간이 태어난 날을 의미하며 동일한 날짜에 태어난 사람들은 공통된 성향을 갖고 있음을 전제함(공통된 성향일 갖고 있을 뿐, 삶이 동일하다는 의미는 아님)
▪ 이런 성향들을 모아서 정리한것이 일주론(日註論)이라고 지칭함
▪ 흔히 사주팔자(四柱八字)를 살펴보는 동양에서의 시간관념은 일반적인 과거에서 현재로 흘러가는 직선적인 시간관념과 성향이 다름
▪ 동양에서의 시간관념은 인연과 깊은 연관이 있고 이미 나를 스쳐 지나간 시간도 주기를 갖도 다시금 나에게 돌아오고 있음을 전재로 함
▪ 사주에서 연주(年柱)와 일주(日柱)는 60개의 단위로 반복됨
▪ 2025년 올해 을사년(乙巳年)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59년이 지나면 다시 을사년(乙巳年)이 돌아오게 됨
▪ 그래서 사주에서는 60이란 숫자는 매우 의미 있는 숫자로 받아들여졌고 인간의 삶에서 60년을 의미 있는 숫자로 보고 60이란 숫자에 회갑(回甲)이란 명칭을 부여해서 기념했음
▪ 년주(年柱)와 마찬가지로 마찬가지 일주(日柱)도 60개의 단위로 순환됨
▪ 오늘 태어난 사람과 오늘로부터 59일 이후에 태어난 사람의 일주가 동일함
사주팔자를 바라보는 과거와 현재의 차이점
▪ 일주론(日註論)과 마찬가지로 연주론(年註論) 월주론(月註論), 시주론(時註論)등을 과거에는 사용했음
▪ 아주 먼 과거에는 년주(年柱)가 사주 해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고 연주론(年註論)에서 삼재(三災)라는 개념이 도입되었음
▪ 삼재(三災)는 년지(年支)(태어난 해)를 기준으로 정해짐.
▪ 하지만 명나라 이후의 사주명리에서는 사주 중 일주를 중심에 두고 사주를 판별하게되었고 현대 명리학에서는 일주 중에서 하늘에 해당하는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전체사주를 해석하고 있음
▪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주팔자에서 대표적으로 알아보고 있는 관운(官運)이니, 재운(財運)등은 모두 일간(日干)을 중심으로 설정되어 판별하는 것임
▪ 명리학은 종교나 미신이 아닌 과거부터 현재까지 꾸준하게 전해지고 있는 학문이고 공부임
▪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학문의 내용이 더해지고 빼지며 다듬어지고 있는것이라 간단하게 이해하면 됨
현대 명리학 일간(日干)
▪ 현대 명리학에서는 일간(日干)이 곧 '나‘를 의미
▪ 개인의 아이덴티티, 자아, 정체성, 근원을 나타내는 것이 바로 일간(日干)
▪ 일주(日柱)가 개인의 현주소와 성향을 가장 잘 나타낸다고 보는 것이 중론
▪ 일간(日干)의 아래에 있는 일지(日支)는 부부(剖符)궁에 해당하는 자리로서 나의 배우자에 해당함
▪ 이는 나와 배우자가 모두 일간과 일지에 있으니 당연히 현대 명리학에서는 연주, 월주, 시주보다 일주(日柱)가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하면 간단함
▪ 현재에도 여전히 띠를 중심으로 사람과 팔자에 대한 판단을 하고 날삼재, 들삼재등의 삼재에 대해 맹신하는 경우가 있음
▪ 하지만 삼재를 맹신하고 단정하는 것을 잘못된 판단임.
▪ 물론 태어난 해(연지年支)가 전체 사주에서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그 영향력이 미미하며 오히려 일간(日干)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많은 명리학자들의 동의하고 있음
▪ 현대 명리학이 일주(또는 일간) 중심이니, 일주를 이해한다는 것은 명리학의 정수와 핵심을 파악하는 중요한 내용임
▪ 또한 일주론은 대중적으로는 MBTI, 혈액형별 성격, 별자리 보다 훨씬 더 정확하고 흥미로운 개인 성향 분석자료라고 판단됨
육십갑자(六十甲子)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 오행(五行) 년도별 띠 색상
육십갑자(六十甲子)는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 오행(五行)의 조합 ▪ 육십갑자는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 이 조합은 천문학적 현상과 자연의 변화를 반
naver-knowledgein.tistory.com
2025년 을사년(乙巳年) 총운 푸른 뱀의 해 청사(靑蛇)해 운세와 흐름 2025년 운세 흐름
2025년은 을사년(乙巳年) ▪ 푸른 뱀의 해, 청사(靑蛇)의 해 ▪ 육십 간지의 42번째로 청색의 '을(乙)’과 뱀을 의미하는 ‘사(巳)’를 상징하며 ‘청사(靑蛇)의 해'라고도 부름 을사년(
naver-knowledgei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