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은 을사년(乙巳年)
▪ 푸른 뱀의 해, 청사(靑蛇)의 해
▪ 육십 간지의 42번째로 청색의 '을(乙)’과 뱀을 의미하는 ‘사(巳)’를 상징하며 ‘청사(靑蛇)의 해'라고도 부름
을사년(乙巳年) 특징
▪ 을사년(乙巳年)은 나무의 기운과 흙의 기운을 의미
▪ 새로운 시작과 성장을 상징하는 나무 기운과 안정과 균형을 의미하는 흙 기운이 어우러져 다양한 기회와 변화를 가져오게 됨
▪ 을사년(乙巳年)은 병오년(丙午年)과 깊은 연관이 있음 [을사(乙巳)의 기운은 병오(丙午)로 이어지기 때문임]
▪ 을사년(乙巳年)에 시작하고 토대를 쌓은 것이 병오년(丙午年)에 결과가 나타나고 확장되기 때문임
소운법(小運法)으로 바라본 을사년(乙巳年)
▪ 소운법(小運法)이란?
- 사주의 절반에서는 대운(大運)이 나오고 절반에서는 소운(小運)이 나옴
- 대운(大運)은 커다란 운을 의미하며 보통 10년을 주기로 해석함
- 소운(小運)은 대운(大運)의 절반인 5년을 주기로 해석함
- 즉 대운(大運)의 천간(天干)은 대운(大運)의 시기의 초반 5년, 지지(地支)는 후반 5년으로 해석하는 것이 소운법(小運法)
▪ 소운법(小運法)으로 적용한 을사년(乙巳年)
- 을사년(乙巳年)의 초반에는 천간(天干)의 을목(乙木) 이乙木) 강한 힘을 발휘하고, 을사년(乙巳年)의 후반에는 지지(地支)의 사화(巳火)가 강한 힘을 발휘함
-을목(乙木) : 실행하고 있고 행동하고 있지만 마음이 동하지 않고 그 기운이 아직 사방으로 뻗어가지 못한 것을 의미
-사화(巳火) : 실행하지 않고 있지만 의욕만큼은 넘쳐 기운이 사방으로 뻗어가고 있음을 의미
- 즉 을목(乙木)의 미약한 기운은 사화(巳火)로 변화하며 이는 미약한 기운이 급격하게 성장하여 폭발할 수 있음을 암시함
2025년 을사년(乙巳年)의 변화
▪ 십간(천간)과 오행의 육십갑자를 통해 살펴보면 천간의 흐름은 갑목(甲木)-을목(乙木)-병화(丙火)-정화(丁火) 순서로 일치하며 자연스럽게 변화함
2024년 | 갑진 (甲辰) | 갑 | 목(木) | 청색 | 진 | 용 |
2025년 | 을사 (乙巳) | 을 | 목(木) | 청색 | 사 | 뱀 |
2026년 | 병오 (丙午) | 병 | 화(火) | 적색 | 오 | 말 |
2027년 | 정미 (丁未) | 정 | 화(火) | 적색 | 미 | 양 |
45 | 무신 (戊申) | 무 | 토(土) | 황색 | 신 | 원숭이 |
46 | 기유 (己酉) | 기 | 토(土) | 황색 | 유 | 닭 |
47 | 경술 (庚戌) | 경 | 금(金) | 백색 | 술 | 개 |
48 | 신해 (辛亥) | 신 | 금(金) | 백색 | 해 | 돼지 |
49 | 임자 (壬子) | 임 | 수(水) | 흑색 | 자 | 쥐 |
50 | 계축 (癸丑) | 계 | 수(水) | 흑색 | 축 | 소 |
▪ 이를 바탕으로 요약하면 을사년(乙巳年) 초반의 노력과 과정에 따라 후반으로 가면서 그 결과가 크게 확장됨을 의미함
- 을사년 을목(乙木), 즉 나무의 기운이 강하고 다음 해인 병오와 정미년에 불길로 나무를 태우는 상황이 펼쳐지기 때문에 땔감으로 사용될 나무, 즉 2025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2025년은 물론 2026년, 2027년까지 영향을 줄 수밖에 없음
▪ 즉 초반의 노력과 과정이 순탄하다면 후반에 긍정적인 변화가 예상되지만 반대로 노력이 빈약하고 과정이 순탄하지 않는다면 후반에 부정적인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음
▪ 긍정의 변화
- 2025년 초반에 주어진 기회, 노력, 과정을 잘 쌓아 올리면 당장은 큰 의미와 결과가 나타나지 않지만 후반기로 가면서 지금까지 쌓아 올린 것들이 큰 성취로 다가올 수 있음
- 당장 2025년에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도 다음 해인 2026년인 병오년(丙午年)은 물론 2026년인 정미 (丁未)까지 더 큰 성취와 보상을 받게 됨
▪ 부정의 변화
- 2025년 초반에 제대로 기초를 만들어 놓지 않으면 당장은 큰 문제가 없겠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부정적인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 높음
- 마찬가지로 2025년에 큰 부침이 없더라도 2026년인 병오년(丙午年)과 더불어 2026년인 병오년(丙午年)까지 그 영향으로 무척 힘들어질 수 있게 됨
▪ 2025년 을사년(乙巳年)은 긍정과 부정등의 결과를 위해 쌓아 올리며 기초를 다지는 시기로 급격한 상황의 변화에 대응하고 노력하며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자세와 행동이 필요함
2025년 을사년(乙巳年)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
▪ 을사년(乙巳年)은 간지의 특징이 너무 뚜렷하기 때문에 사주, 운세등만을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을사년(乙巳年)이 갖고 있는 고유의 상황과 흐름을 잘 관찰하고 변화와 흐름에 올라타야 함
▪ 초반에는 큰 변화가 없고 나태해지기 쉽지만 마음을 다잡고 노력하여 기초를 탄탄하게 쌓아 올리는 것이 추후 큰 성과와 보답으로 다가옴
▪ 을사년(乙巳年)의 후반부터 휘몰아치는 강한 화(火)의 기운은 긍정이든 부정이든 엄청난 변화를 상징하고 반드시 결과를 주는 시기이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도전하고 노력하는 자세로 2~3년을 바라보는 것이 필요
▪ 노력은 더 큰 노력을 요구하고 성공은 더 큰 성공을 불러오며 실패는 더 큰 시련으로 다가오는 시기이기 때문에 혹시 좌절, 실패를 하더라도 주저앉지 말고 한 발자국이라도 더 앞으로 전진한다면 노력과 흘린 땀 이상의 보상이 눈앞에 펼쳐질 가능성이 높음
▪ 사주 또는 운세가 안 좋은 경우에도 절대로 좌절하지 말고 조심해야 하는 것은 조심하고 앞으로 전진해야 하는 시기
육십갑자(六十甲子)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 오행(五行) 년도별 띠 색상
육십갑자(六十甲子)는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 오행(五行)의 조합 ▪ 육십갑자는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 이 조합은 천문학적 현상과 자연의 변화를 반
naver-knowledgein.tistory.com
사주팔자(四柱八字)의 일주론(日註論)이란? 사주팔자(四柱八字) 기본개념
사주팔자(四柱八字) 기본 개념 ▪ 사주팔자는 사주명리학(四柱命理學)의 기본 개념 ▪ 사주(四柱)에서 사(四)는 숫자 4, 즉 4개를 의미함 ▪ 사주(四柱)에서 주(註)는 기둥주, 즉 기둥을 의미함
naver-knowledgei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