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민간동물보호시설2

민간동물보호시설 정의 및 신고제도 민간동물보호시설 유기동물 입양 절차

민간동물보호시설이란? 민간동물보호시설은 유실・유기되거나 학대받은 동물등을 구조 및 보호하는 비영리 시설입니다. 2023년 4월 동물보호법 개정에 따라 민간동물보호시설은 법제도로 관리되고 있으며 관련시설은 의무적으로 신고대상이 되었습니다.     민간동물보호시설의 요건 1. 비영리목적의 시설- 민간동물보호시설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아야 합니다. 2. 유기・유실 및 피학대동물을 위한 시설- 유기・유실동물, 피학대동물을 기증 및 인수받아 임시로 보호하기 위한 시설입니다. 3. 신고요건을 갖추어 신고 및 운영- 일정규모 이상인 시설은 법으로 정해진 신고요건을 갖추어 지방자치단체장에게 반드시 신고하고 시설을 운영해야 합니다.     민간동물보호시설의 역할 및 필요성 민간동물보호시설은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유기동.. 반려동물 2025. 2. 8.

지역별 동물보호센터 유기동물 보호시설 문제점, 유기동물 안락사 관련 내용, 지자체별 공공 유기동물 보호시설 목록

동물보호센터 유기견 보호센터, 유기견 보호시설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유기견보호 관련 시설 중 동물보호법, 유기동물관리법등을 통해 국가 및 지자체에서 선정하여 국가동물정보시스템에 등록된 합법적인 시설을 동물보호센터라고 지칭함 민간시설과 다른 점은 국가 및 지자체에서 동물보호센터로 지정, 수탁되어 운영되기 때문에 관련 법령에 따라 제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음 쉽게 말해 국가와 지자체로부터 지정여부 및 운영비등의 재정적 지원여부에 따라 공공보호시설과 민간보호시설로 구분     재정적 지원 지자체별로 지원항목 및 지원비용에 차이가 있음 • 포획비용- 민간시설, 공공시설 모두 유기동물 포획비 명목으로 마리당 3만 원 ~ 10만 원 정도의 비용 지원 • 안락사 비용민간시설, 공공시설 모두 안락사비용으로 6.. 반려동물 2025. 2.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