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바일IT기기관련

갤럭시 Z폴드 스페셜 에디션 vs 갤럭시 Z폴드6 차이점 비교 삼성이 몰락할수 밖에 없는 이유

반응형

삼성전자 Z폴드 스페셜 에디션 VS Z폴드6 비교 섬네일
삼성전자 Z폴드 스페셜 에디션 VS Z폴드6 비교 섬네일

 

삼성전자 갤럭시 Z폴드 스페셜 에디션

 

▪ 2024년 10월 25일 전 세계에서 한국에서만 단독 출시된 삼성전자의 최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 스페셜 에디션은 한국중국 단 2개국만 출시가 예정된 제품(중국 출시 기기는 이 모델을 바탕으로 변형된 삼성 W25 5G 모델로 예정 - 중국시장 전용 모델)

 

▪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Z폴드 시리즈중 가장 얇고 가볍고 제일 넓은 화면을 갖고 있음

 

▪ 가격도 역대급으로 비싼 가격으로 출시됨

 

▪ 512GB 단일 모델로 출시

 

 

 

 

 

 

 

사양 비교 (Z폴드 스페셜 에디션 vs Z폴드 6)

 

성능상 큰 차이는 없고 Z폴드 6과 전반적인 사양 공유

 

▪ 가장 큰 차이점은 본체 두께

 

▪ 폴드 6은 5.6mm(접은 상태)~12.1mm(편 상태)의 두께를 갖춘 반면, 스페셜 에디션은 4.9mm~10.6mm로 조금 더 얇아짐

 

▪ 약간 크기가 커진 반면 무게는 239g(폴드 6)에서 236g(스페셜 에디션)으로 3g더 가벼워짐

▪ 메모리 용량도 기존 12GB(폴드6)에서 16GB(스페셜 에디션)로 증가
 
▪ 커버디스플레이 화면 비율이 22:9(폴드6)에서 21:9(스페셜 에디션)로 폭이 조금 더 넓어지며 접었을때 화면비율의 어색함이 조금 줄어듬
 
▪ 광각카페라의 화소가 5000만화소(폴드6)에서 2억화소(스페셜 에디션)로 높아졌음
 
▪ 카메라 화소수가 높아진 반면 조리개 값은 F1.8(폴드6)에서 F2.2(스페셜 에디션)로 변경되어 저조도 야간 촬영시 불리해 졌음
 


삼성전자 갤럭시Z 폴드 스페셜 에디션 512GB
(출고가:278만 9600원)


삼성전자 갤럭시Z 폴드6 512GB

(출고가 : 238만 8100원)
휴대폰 타입
스마트폰(폴더블)
휴대폰 타입
스마트폰(폴더블)
출시OS
안드로이드
출시OS
안드로이드
통신망
5G
통신망
5G
모델명
SM-F958N
모델명
SM-F956


디스플레이
화면크기
20.3cm(8인치)
화면크기
19.3cm(7.6인치)
화면해상도
2184x1968
화면해상도
2160x1856
최대주사율
120Hz
최대주사율
120Hz
패널종류
D-AMOLED 2X
패널종류
D-AMOLED 2X
화면종류
QXGA+
화면종류
QXGA+
최대밝기
2600nits
최대밝기
2600nits


외부디스플레이
크기
16.5cm(6.5인치)
크기
16cm(6.3인치)
해상도
2520x1080
해상도
2376x968
최대밝기
2600nits
최대밝기
2600nits
패널종류
D-AMOLED 2X
패널종류
D-AMOLED 2X
최대주사율
120Hz
최대주사율
120Hz
힌지종류
플렉스 힌지
힌지종류
플렉스 힌지


시스템
프로세서
스냅드래곤8 Gen3
프로세서
스냅드래곤8 Gen3
공정
4nm
공정
4nm
코어 개수
8코어
코어 개수
8코어
코어클럭
3.39GHz+3.1GHz+2.9GHz+2.2GHz
코어클럭
3.39GHz+3.1GHz+2.9GHz+2.2GHz
NPU
퀄컴 헥사곤
NPU
퀄컴 헥사곤
16GB
12GB
용량
512GB
용량
512GB


벤치마크
AP싱글코어
2193
AP싱글코어
2193
AP멀티코어
7304
AP멀티코어
7304


네트워크
5G
5G NR
5G
5G NR
4G
LTE
4G
LTE
Wi-Fi버전
802.11be(Wi-Fi 7)
Wi-Fi버전
802.11be(Wi-Fi 7)
블루투스
블루투스v5.3
블루투스
블루투스v5.3
유심(국가별상이)
나노+eSIM
유심(국가별상이)
나노+eSIM


카메라
메인(광각)
메인(광각)
초광각
초광각
망원
망원
전면 카메라 형태
펀치홀
전면 카메라 형태
UDC(펀치홀 업그레이드버전)
카메라 타입
트리플카메라
카메라 타입
트리플카메라
전면카메라
전면:1,000만화소+400만화소
전면카메라
전면:1,000만화소+400만화소
후면카메라
후면:2억 화소+1200만화소+1000만화소
후면카메라
후면:5,000만화소+1200만화소+1000만화소
동영상
8K@30fps
동영상
8K@30fps
조리개값
F2.2
조리개값
F1.8


카메라기능
광학줌
광학줌
손떨림보정(OIS)
손떨림보정(OIS)
손떨림보정(EIS)
손떨림보정(EIS)
HDR촬영지원
HDR촬영지원
파노라마
파노라마
카메라플래시
카메라플래시
최대광학줌
3배
최대광학줌
3배
최대디지털줌
30배
최대디지털줌
30배


AI기능
쓰기/요약/편집
쓰기/요약/편집
AI 이미지
생성/편집
AI 이미지
생성/편집
실시간 통역
실시간 통역
AI 검색
AI 검색


보안 및 결제
지문인식(측면)
지문인식(측면)
전자결제
삼성페이
전자결제
삼성페이


센서
가속도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자이로센서
기압센서
기압센서
근접센서
근접센서
나침반센서
나침반센서
조도센서
조도센서


배터리
충전단자
USB-C
충전단자
USB-C
USB버전
USB3.2
USB버전
USB3.2
배터리용량
4,400mAh
배터리용량
4,400mAh
배터리장착방식
배터리일체형
배터리장착방식
배터리일체형
사용시간(동영상)
최대 23시간
사용시간(동영상)
최대 23시간


규격
디자인 특징
폴드형
디자인 특징
폴드형
방수/방진
IP48
방수/방진
IP48
가로
142.6mm
가로
132.6mm
세로
157.9mm
세로
153.5mm
두께
4.9mm
두께
5.6mm
무게
236g
무게
239g



 

 

 

 

출시 관련 잡음

 

▪ 한국 시장에서 10월 25일 정식 출시가 예정되었지만 모종의 이유로 출시가 지연됨

 

▪ 원래 출시하기로 했던 시간이 되었는데도 모종의 이유로 출시가 지연되었고 삼성전자 측에서 오후 3시경 출시지연과 관련된 정확한 이유를 내놓지 못하고 '출시 지연 이유를 설명하겠다'라는 다소 엉뚱한 답변을 내놨다가 오후 4시 삼성전자 자사 공식몰인 삼성닷컴을 통해 기습 출시를 진행함

 

▪ 출시 10분도 채 되지 않아 재고 부족으로 판매 중단 (고작 89대 판매)

 

▪ 출시지연과 관련해서 출시당일까지 삼성전자 사업부 간 의견충돌이 있었다는 기사가 올라옴

- 삼성 '갤럭시 Z폴드 슬림', 실무부서와 마케팅 부서 간 이견

- "갤럭시 Z폴드 SE에서 일부 기능 보완 여부를 두고 출시 당일까지 판매 연기 등을 놓고 개발을 맡은 모바일경험(MX) 사업부와 영업마케팅을 담당하는 한국총괄 간 의견이 갈렸다"

 

 

▪ 출시지연과 관련해 품질 문제는 부인, 물량 조절 실패라 언급한 상황

- 삼성전자 관계자는 "스페셜 에디션인 만큼 일반 갤럭시 시리즈보다는 물량이 적을 것"이라고 발언

- 품질 이슈 때문이 아니냐는 의혹에는 "생산 물량을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려 몇 대를 풀어야 할지 결정하다가 지연이 된 것"이라고 말했다.

 

▪ 통신 3사의 공식 온라인 몰에서도 동일한 일정에 판매가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25일 기준으로는 판매는커녕 예약 페이지조차 열리지 않았음

 

▪ 언제 판매가 진행될지도 기약이 없음 

 

▪ 삼성 측에서 오후 4시를 기준으로 백화점에서는 정상 판매가 이뤄졌다고 입장을 밝혔으나, 백화점들은 이는 사실이 아니며 예약을 받았을 뿐이고 실제로 들어온 물량은 없다고 부인함

 

▪ 삼성전자 공식몰 판매금액을 역산해 본 결과 실제 첫날 판매된 물량은 고작 89대로 확인됨

 

▪ 추측으로는 실제 준비한 초기 물량은 100대였지만 이 중 11대가 취소되고 나머지 89대만 판매된 것으로 예상

 

▪ 백화점의 사전 예약 물량이 총 280대(1차 150, 2차 130)로 알려져 있어 첫날 물량으로는 총 380대가 기획된 게 끝인 것으로 보임

 

▪ 백화점 채널을 통해 3차 물량 120대 정도가 판매될 예정으로 알려졌고 이후 판매는 미정이라고 함

 

▪ 즉 위의 380대와 백화점 3차 물량을 합치면 고작 총 500대 규모의 정규 물량을 기획했다고 판단됨

 

 

 

 

 

 

삼성전자 논란과 위기 상황

 

▪ 갤럭시 Z폴드 스페셜 에디션은 기존 Z폴드 6을 변형한 제품

 

▪  전반적으로 카메라 기능의 향상, 조금 넓어진 디스플레이, 줄어든 두께등의 개선점이 존재하지만 사실상 실 사용에 큰 차이가 없고 내부 전면 카메라의 UDC가 펀치홀 카메라로 다운그레이 되었고 카메라 조리개 값 역시 기존 1.8에서 2.2로 다운그레이됨

 

▪ 특히 내부 화면 부품에서 S펜 인식용 디지타이저가 빠진 구성 등으로 실제 폴드 6과 40여만 원 차이를 두기에는 엄청난 무리가 있음

 

▪ 폴드 6가 출시된 지 고작 3개월 만에 내놓은 제품이라 가격차이를 극복할만한 뚜렷한 개선점과 신기술이 없는 상황

 

 

 

 

 

 

갤럭시 Z폴드 스페셜 에디션을 급히 출시한 진짜 이유

 

▪ 기존 폴드 6의 경우 펼쳤을 때는 상관없지만 접었을 때 일반적인 스마트폰 대비 두꺼운 두께가 아쉬웠음

 

▪ 2025년 1월에 갤럭시 S시리즈의 출시가 예정된 상황

 

▪ 애초 슬림 라인업을 출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만든, 즉 타게팅 국가는 중국

 

▪ 중국을 견제하는 이유는 폴더블폰 한정으로 따지면 전 세계에서 중국의 기술력과 제품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상향평준화됨

 

▪ 전 세계 폴더블폰 시장은 전년 대비 48%나 급성장했고 이중 폴더블폰 전세계 출하량의 58.6%를 차지하며 1위로 등극

 

▪ 중국의 HONOR는 처음으로 서유럽에서 삼성을 제치고 폴더블폰 판매량 1위를 달성

 

▪ 폴더블폰의 시작은 삼성전자에서 시작되었고 전 세계 시장을 삼성이 선도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기술격차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더이상 삼성이 시장을 선도하는 상황이 아님

 

▪ 현재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중 폴더블폰이 차지하는 비중은 1% 남짓, 하지만 3년 뒤에는 1억대 이상의 출하량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의 1/3 수준

 

▪ 이렇게 급속도로 증가하는 폴더블폰 수요에서 삼성은 중국의 거센 추격을 따돌리기 힘든 상황에 놓이게 되었음

 

▪ 이미 중국의 HONOR폰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얇은 폴더블폰 아너 매직 V3란 제품을 출시했음

아너 매직 V3와 갤럭시 Z폴드6 비교 사진(출처 : 리보니 IT리뷰)
아너 매직 V3와 갤럭시 Z폴드6 비교 사진(출처 : 리보니 IT리뷰)

 

아너 매직 V3와 갤럭시 Z폴드6 사양, 가격 비교 그래프
아너 매직 V3와 갤럭시 Z폴드6 사양, 가격 비교 그래프

 

 

 

▪ 중국의 화웨이는 기존 2단을 넘어 3단 폴더블폰 메이트 XT를 출시함

갤럭시 Z폴드6와 화웨이 메이트 XT비교 사진
갤럭시 Z폴드6와 화웨이 메이트 XT비교 사진(출처 유튜브 채널 UNDERkg)

 

▪ 삼성전자는 더 이상 시장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 (First mover)가 아닌  신기술을 쫓아가며 카피하는 패스트 팔로어(Fast follower)로 위상이 추락하고 있는 상황임

 

▪ 결국 이런 상황에서 삼성전자는 중국의 폴더블폰에 대항하고자 급하게 Z폴더 6을 조금 더 얇고 약간의 변형을 준 Z폴더 스페셜 에디션 제품을 출시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판단됨

 

▪ 하지만 이마저도 매끄럽지 못한 출시과정과 기존 제품과의 차별화 실패, 높은 가격저항등에 가로막혀서 결국 실패하는 분위기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미래

 

▪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안드로이드 진영과 애플 진영 두 곳의 경쟁으로 양분화된 지 오래됨

 

▪ 안드로이드 진영의 선봉장이자 최고는 삼성전자

 

▪ 타 국가들의 경우 어느 정도 안드로이드폰을 선택할 수 있는 기업이 여럿 있지만 대한민국의 경우 삼성이 유일함

 

▪ 그나마 LG가 스마트폰 시장 철수 전에는 나름 가격 및 성능 경쟁이 치열했었지만  LG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철수하면서 대한민국은 삼성의 독점체제로 굳어짐

 

▪ 독점으로 인한 폐해는 소비자에게 전가되었고 삼성의 기술 발전과 경쟁은 사라져 더 이상 깜짝 놀란만 한 신기술이 등장하지 않음

 

▪ 결국 이런 상황에서 삼성은 방심했고 글로벌 시장에서 삼성의 기술력과 입지는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

 

▪ 단순 프리미엄을 내세우며 제품의 가격을 높이고 있지만 사실상 전 세계 프리미엄폰 점유율은 애플이 압도적인 상황

 

▪ 삼성이 중국 업체들의 신기술을 따라가기 급급한 상황이 계속된다면 결국 몇 년 안에 삼성의 점유율과 기존 쌓아왔던 이미지는 순식간에 나락으로 갈 것으로 예상됨

 

▪ 그리고 삼성의 몰락은 결국 대한민국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전가될 위기

 

▪ 지금이라도 삼성이 정신 차리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기존 자국민을 호구취급하던 모습을 벗어버리고 세계에서 가장 깐깐한 대한민국 국민을 대상으로 신기술과 제품 테스트를 진행하며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려야 함

 

▪ 이 과정에서 가격 경쟁력까지 고려하지 않는다면 결국 몇 년 안에 대한민국 스마트폰 시장은 아이폰과 중국 제품으로 재편될 확률이 높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