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 외국인 집중 거주 지역 Top 10 / 외국인 등록 인구 증가율 기준 상위 도시 Top 10

홀로지식 2025. 4. 6.
반응형

최근 우리나라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외국인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며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합계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인 0.75명으로 떨어진 현실 속에서, 외국인 인구의 증가는 대한민국 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동시에 다양한 사회적 논의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지역별 외국인 거주 인원 이미지
섬네일

 

늘어나는 외국인 인구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부터 대한민국은 인구 자연 감소 시대에 진입했으며, 이러한 추세 속에서도 외국인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여 2024년 기준 246만 명으로 전체 인구 51,310,000명 대비 약 4.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주변에 많은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기 어렵습니다.

이는 외국인들이 특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거나, 우리와 외모가 비슷한 한국계 중국인, 중국인, 베트남인 등의 비중이 높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법무부의 출입국 외국인 정책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에서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과 도시들 순위를 매겨보았습니다.

 

단순히 외국인 등록 인구수뿐만 아니라, 그 증가율까지 고려하여 작성했습니다.

 

 

 

 

외국인 등록 인구수 기준 상위 지역 Top 10

가장 먼저, 2023년 기준 외국인 등록 인구수가 많은 지역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외국인주민 유형별 현황 (단위 : )
구분 외국인주민 합계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 한국국적
취득자
외국인주민
자녀 (출생 )
외국인
근로자
결   혼
이민자
유학생 외국국적
동     포
기   타
외국인
’23 2,459,542   1,290,104 1,169,438   1,935,150 470,250 180,072 206,329 410,972 667,527 234,506 289,886
비율 (%) 52.5 47.5 78.7 19.2 7.3 8.4 16.7 27.1 9.5 11.8
’22 2,258,248 1,159,287 1,098,961 1,752,346 403,139 175,756 189,397 397,581 586,473 223,825 282,077
 비율 (%) 51.3 48.7 77.6 17.9 7.8 8.4 17.6 26 9.9 12.5
증감 201,294 130,817 70,477 182,804 67,111 4,316 16,932 13,391 81,054 10,681 7,809
비율 (%) 8.9 11.3 6.4 10.4 16.6 2.5 8.9 3.4 13.8 4.8 2.8

241025 (조간)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수 246만 명 총인구 대비 4.8% 역대 최다(사회통합지원과).pdf
3.52MB
241025 (조간)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수 246만 명 총인구 대비 4.8% 역대 최다(사회통합지원과).hwpx
0.58MB

 

 

10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외국인 등록 인구 : 28,250

 

특징

- 반월국가산업단지의 배후 주거 지역 역할을 하며, 금속, 기계, 화학 등 다양한 제조업 분야의 중소기업들이 밀집해 있어 외국인 노동자들의 거주 비중이 높습니다.

- 주로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다양한 국적의 노동자들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9 - 서울시 금천구

외국인 등록 인구 : 28,560

 

특징

- 가산디지털단지와 인접해 있으며, 섬유, 봉제 산업 등 노동 집약적인 제조업 기반의 소규모 공장들이 밀집되어 있어 동남아시아 국적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주로 거주합니다.

- 특히 베트남, 중국 국적의 외국인 비율이 높습니다.

 

 

8위 - 경기도 김포시

외국인 등록 인구 : 29,184

 

특징

- 대곶면, 양촌읍 일대에 학운산업단지, 김포골드밸리 등 다양한 규모의 산업 단지가 조성되어 있어 외국인 노동자들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습니다.

-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 다양한 국적의 노동자들이 종사하고 있습니다.

 

 

7위 - 충청남도 아산시

외국인 등록 인구 : 35,567

 

특징

- 탕정면의 삼성디스플레이시티, 염치읍의 현대자동차 아산공장 등 대규모 제조업 시설이 위치하여 베트남, 중국, 스리랑카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노동자 비중이 높습니다.

- 특히 자동차 부품 관련 협력업체에도 많은 외국인들이 종사하고 있습니다.

 

 

6 - 경기도 평택시

외국인 등록 인구 : 42,435

 

특징

- 팽성읍 일대에 캠프 험프리스를 중심으로 한 주한미군 기지가 위치하여 미국인 비율이 높습니다.

- 또한 고덕국제신도시 내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포승읍의 평택항만 배후 산업단지 개발 등으로 중국, 베트남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노동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5위 - 서울시 구로구

외국인 등록 인구 : 48,343

 

특징

- 구로디지털단지와 가리봉동 일대에 중국 동포들이 밀집하여 거주하며, '차이나타운'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 이 외에도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들이 거주하며, 제조업, 서비스업, 건설업 등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4위 - 서울시 영등포구

외국인 등록 인구 : 48,682

 

특징

- 대림동 일대는 '차이나타운'으로 불릴 정도로 한국계 중국인 커뮤니티가 매우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국 식료품점, 음식점 등 관련 상권이 발달했습니다.

- 이 외에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들이 거주하며, 특히 상업, 서비스업, 건설업 종사자들이 많은 편입니다.

 

 

3위 - 경기도 화성시

외국인 등록 인구 : 59,942

 

특징

- 동탄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택지 개발과 함께 마도면, 송산면 일대에 현대기아자동차 기술연구소,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등 대기업 생산 거점이 조성되면서 중국, 베트남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노동자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 기존 반월·시화공단에서 이전해온 제조업 공장들도 많아 외국인 인구 증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위 - 경기도 시흥시

외국인 등록 인구 : 66,103(안산시 단원구와 동일)

 

특징

- 정왕동의 시화국가산업단지, MTV(멀티테크노밸리) 산업 단지 등 다양한 산업 단지가 위치하여 금속, 기계, 화학 등 제조업 분야의 외국인 노동자 수요가 높습니다.

- 안산과 인접하여 생활권을 공유하며, 한국계 중국인, 중국인, 베트남 순으로 거주 외국인 국적 비율이 높습니다.

 

 

1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외국인 등록 인구 : 66,103

 

특징

- 반월국가산업단지와 시화국가산업단지를 끼고 있는 대표적인 공업 도시로, 금속, 기계, 전자 등 다양한 제조업 분야에 종사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습니다.

- 특히 원곡동 일대는 한국계 중국인 커뮤니티가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다문화 음식점, 상점 등이 밀집한 다문화 특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 중국,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들이 거주합니다.

 

 

 

 

외국인 등록 인구 증가율 기준 상위 Top 10 도시

다음으로는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외국인 등록 인구 증가율이 높은 도시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는 특정 지역에서 외국인 인구가 얼마나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10 충청남도 금산군 (88.6% 증가)

전국 최대의 인삼 산지로 유명하며, 고령화로 인해 인삼 농가에서 외국인 계절 근로자들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로 베트남, 중국 국적의 외국인들이 인삼 재배 및 수확 작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9 전라남도 나주시 (89.6% 증가)

넓고 비옥한 평야를 바탕으로 쌀농사가 발달한 지역으로, 농촌 인력 부족으로 인해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국적의 외국인 근로자들이 농업 분야에 주로 종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쌀, 배 등 주요 작물 재배에 외국인 노동력 의존도가 높은 편입니다.

 

 

8 강원도 강릉시 (91% 증가)

경포대, 오죽헌, 정동진 등 유명 관광지가 많아 숙박 및 음식업 분야에서 외국인 고용이 늘고 있으며, 농업 및 어업 분야에서도 외국인 노동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베트남, 러시아, 중국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들이 종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문진항 등 어항 주변으로 외국인 노동자들이 거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7 충청북도 영동군 (94.6% 증가)

포도, 사과, 배 등 다양한 과일 재배가 활발한 지역으로, 농촌 고령화로 인해 외국인 계절 근로자들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네팔 국적의 외국인들이 주로 과수원 작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6 경상북도 경산시 (98.7% 증가)

대구광역시와 인접한 위성 도시로, 영남대학교, 대구대학교 등 대학교가 많아 중국, 베트남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유학생 인구가 많습니다.

 

또한 진량읍, 하양읍 일대에 조성된 산업 단지에는 제조업 분야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습니다.

 

 

5 경상남도 밀양시 (102.2% 증가)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벼농사, 시설 채소 재배 등이 활발한 농업 도시로, 고령화로 인한 농촌 인력 부족으로 인해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시아 국적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농업 분야에 주로 종사하고 있습니다.

 

 

4 경상북도 상주시 (108% 증가)

전국적인 곶감 생산지로 유명하며, , 오이, 포도 등 다양한 농산물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농촌 고령화로 인해 외국인 계절 근로자들의 수요가 높으며, 주로 베트남, 중국 국적의 외국인들이 농작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3 전라남도 고흥군 (113.8% 증가)

넓은 농경지와 해안선을 따라 농업과 수산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적의 외국인 근로자들이 농어업 분야에 주로 종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김 양식, 어선 어업 등에 외국인 노동력 의존도가 높은 편입니다.

 

 

2 전라남도 진도군 (131.8% 증가)

제주도, 거제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섬으로, , 미역 등 해조류 양식업과 어업이 발달하여 노동력 부족 현상이 심각합니다.

 

이에 따라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적의 외국인 근로자들이 어업 및 양식업 분야에 대거 유입되고 있습니다.

 

 

1 전라남도 완도군 (186.4% 증가)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군으로, 깨끗한 해역에서 생산되는 김, 전복 양식업이 매우 발달했습니다.

 

고령화로 인한 어촌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베트남, 중국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근로자들이 양식업 및 어업 분야에 종사하며 외국인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외국인 거주 지역 집중화의 이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외국인들은 특정 지역과 도시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볼 수 있습니다.

 

산업 구조

- 제조업 중심의 산업 단지가 위치한 지역(안산, 시흥, 화성, 평택 등)은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주요 취업 기회를 제공하며, 이들이 해당 지역에 정착하는 주요 요인이 됩니다.

 

농어촌 인력 부족

- 농어촌 지역(완도, 진도, 고흥, 상주 등)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노동력 부족 현상이 심각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습니다.

 

기존 커뮤니티 형성

- 특정 국적의 외국인들이 먼저 정착하여 커뮤니티를 형성하면, 이후 같은 국적의 사람들이 해당 지역으로 이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이는 정보 공유, 문화적 동질감, 사회적 지원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구로구 가리봉동 등)

 

주거 환경 및 편의 시설

- 외국인들이 선호하는 주거 환경이나 편의 시설이 특정 지역에 잘 갖춰져 있는 경우, 외국인들의 거주를 유인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및 향후 과제

지금까지 대한민국에서 외국인 등록 인구수와 증가율이 높은 지역들을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분석 결과, 수도권의 산업 단지 주변 지역과 인력 부족에 직면한 농어촌 지역에서 외국인 거주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외국인 인구는 대한민국 사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입니다.

 

외국인 인구의 증가는 노동력 부족 해소, 경제 활력 증진 등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지역 사회 적응, 문화 차이, 다문화 가정 지원 등 해결해야 할 과제 또한 안고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 사회는 증가하는 외국인 인구를 포용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이해하고 존중하며 살아갈 수 있는 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사회적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입니다.

 

 

지난 10년간 인구증가 및 인구 증가율 Top 10 도시

인구감소속 인구증가 도시대한민국의 인구 감소는 엄연한 현실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는 도시들이 존재합니다.  6.25 전쟁 이후 베이비붐 세대의 탄생으로 활력이 넘

naver-knowledgein.tistory.com

 

 

대한민국 인구 감소 보고서 / 대한민국 10년간 인구 변화 심각 도시들 / 인구감소, 인구감소율 Top

인구감소 개요최근 대한민국 사회는 급격한 인구 감소와 고령화라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1994년 28.8세였던 우리나라의 중위 연령은 30년이 지난 현재 46.1세로 높아졌으며, 앞으로 20

naver-knowledgein.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