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통계 비교 / 기관별 반려동물 통계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반려동물 관련 통계
그동안 반려동물과 관련된 통계의 정확성 및 오류등에 관련된 이슈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었습니다.
조사 방법, 조사 기관에 따른 통계수치의 차이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더욱 문제로 다가오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기관별 반려동물 관련 통계 보고서를 표로 만들어 비교해 보겠습니다.
각 기관별 조사 보고서
구분 (단위 %) | 2010년 | 2012년 | 2015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2년 |
국립 수의과학 검역원 |
17.4 | - | - | - | - | - | - | - |
농림수산 검역 검사 본부 |
- | 17.9 | 21.8 | - | - | - | - | - |
농림 축산 검역 본부 |
- | - | - | 28.1 | - | - | - | |
농림 축산 식품부 |
- | - | - | - | - | 26.4 | 27.7 | - |
한국갤럽 | - | - | 19.0 | - | 23.7 | - | - | - |
KPFA | - | - | - | 28.8 | - | - | - | - |
KB연구보고 | - | - | - | 30.9 | 25.1 | - | 29.7 | 25.7 |
멤브레인 | - | - | 22.5 | - | - | - | - | - |
문체부 농촌진흥청 한국펫사료협회 |
- | - | - | - | 27.9 | - | - | - |
통계청 | - | - | - | - | - | - | 15.0 | - |
지난 10여 년 동안 전국의 반려동물 보유가구에 대한 주요 조사 결과들 비교해 보면 전국의 반려동물(개와 고양이) 보유가구 수는 2010년 17.4%에서 2017년에는 30.9%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8년 24%~28%로 수치가 떨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사를 한 기관에 따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KB금융의 연구결과 반려동물 보유 비율은 2017년에 가장 높은 수치인 30.9%에서 2018년도에는 가장 낮은 수치인 25.1%로 급격하게 떨어졌다가 다시 증가 및 감소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 통계청은 5년마다 인구주택총조사를 통해 대한민국의 현실과 사회상을 반영하는 조사를 실시합니다.
▪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에는 처음으로 반려동물 양육여부가 포함되었습니다.
▪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에는 반려동물 사육 여부만 조사되었고 양육두수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지역별 반려동물 가구(단위 : 천 가구)
합계 (단위 : 1,000 가구) |
총 가구수 | 반려동물 양육가구 |
반려견 | 반려묘 | 기타 |
총 20,927 | 3,129 (15.0%) | 2,423 (11.6%) | 717 (3.4%) | 150 (0.7%) | |
읍면부 | 4,028 | 19.8 | 16.8 | 3.8 | 0.7 |
동 부 | 16,899 | 13.8 | 13.8 | 3.3 | 0.7 |
서울 | 3,982 | 12.5 | 12.5 | 3.2 | 0.7 |
부산 | 1,405 | 13.1 | 13.1 | 3.3 | 0.6 |
대구 | 986 | 12.2 | 12.2 | 2.8 | 0.6 |
인천 | 1,147 | 16.9 | 16.9 | 3.7 | 0.7 |
광주 | 599 | 12.4 | 12.4 | 3.1 | 0.6 |
대전 | 631 | 12.7 | 12.7 | 3.0 | 0.7 |
울산 | 444 | 13.3 | 13.3 | 3.4 | 0.7 |
세종 | 139 | 13.3 | 13.3 | 3.3 | 0.9 |
경기 | 5,098 | 16.9 | 16.9 | 3.9 | 0.8 |
강원 | 661 | 17.2 | 17.2 | 3.5 | 0.7 |
충북 | 679 | 16.2 | 16.2 | 3.3 | 0.8 |
충남 | 892 | 17.6 | 17.6 | 3.9 | 0.8 |
전북 | 756 | 14.5 | 14.5 | 2.9 | 0.6 |
전남 | 762 | 18.0 | 18.0 | 3.4 | 0.6 |
경북 | 1,132 | 15.0 | 15.0 | 2.9 | 0.7 |
경남 | 1,350 | 14.8 | 14.8 | 3.6 | 0.7 |
제주 | 263 | 15.6 | 15.6 | 3.1 | 0.6 |
▪ 2020년 11월을 기준으로 대한민국 반려동물 양육 가구수는 312만 9000여 가구로 나타났고 이는 대한민국 총 가구수인 2092만 7000여 가구의 15.0%에 해당하는 비율입니다.
▪ 즉 대한민국은 약 7 가구 중 1 가구가 반려동물을 양육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이는 기존 타 기관들이 공통적으로 600만 가구 이상으로 추산했던 반려동물 양육가구수와 큰 차이를 보이는 결과입니다.
▪ 물론 통계청의 조사는 전체 가구의 20%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이고 조사 문항에서 부정확한 답변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 이로 인해 통계오염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100% 조사의 내용을 신뢰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중 반려동물 관련 내용
▪ 반려동물 양육 가구 중 남성가구는 14.5%, 여성가구는 15.8%
▪ 반려견 양육 가구는 11.6%, 반려묘 가구는 3.4%
▪ 가구주 연령별로는 50~59세(18.9%), 40~49세(16.5%), 60~69세(14.4%), 29세 이하 (12.4%), 70세 이상(9.8%)
▪ 혼인상태별로는 배우자 있음(16.5%), 이혼(15.7%), 미혼(11.9%), 사별(11.3%)
▪ 세대구성별로는 3세대 이상(20.1%), 비친족 가구(18.5%), 2세대 가구(17.9%), 1인 가구는 (9.8%)
조사방식의 차이에서 오는 결과 값 차이
▪ 위 표에서 살펴보면 각 기관별 조사에 따른 반려동물 양육 가구수의 비율 차이는 오차범위를 뛰어넘어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을 정도로 차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이는 각 기관별 조사방법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 농림축산식품부의 조사는 표본대상 5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한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 KB금융의 조사는 1천 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조사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 그 외 각 기관의 경우 조사에 있어 대상 인원이 5000명 미만의 표본으로 조사했다고 합니다.
▪ 하지만 통계청 조사는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20%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기 때문에 비록 첫 조사로서 미숙한 부분이 있었고 조사지의 내용상 잘못된 조사가 될 우려가 있지만 기본적인 조사 표본 단위가 틀리기 때문에 현재 대한민국 반려동물 실태 관련 조사에서는 가장 믿을 수 있는 조사결괏값이라 판단됩니다.
▪ 흔히들 이야기하는 천만 반려인이란 표현은 잘못된 표현이고 대략 450만~550만 사이가 대한민국 반려인의 숫자라고 판단됩니다.
▪ 물론 앞으로 다음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조금 더 디테일한 문항과 신뢰성 있는 질문지를 통해서 보다 확실하고 믿을 수 있는 반려동물 통계가 구축되길 바랍니다.
믿을수 없는 반려동물 통계 조사기관별 제멋대로인 반려동물 통계 문제
통계자료란 특정 수치를 계량화하여 백분율, 비례등의 수치로 보여 주는 자료를 의미합니다.자료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 대표성과 신뢰성 있는 표본을 중심으로 자료를 작성해야
naver-knowledgein.tistory.com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 애견협회(FCI) 국제 애견협회는 어떤 단체? (41) | 2024.11.02 |
---|---|
웰시코기 특징, 성격, 주의점, 질병 웰시코기 키우기전 공부해야 하는 이유 카디건웰시코기 펨브로웰시코기 (40) | 2024.11.01 |
은행나무 / 은행열매 / 반려견과 가을산책 은행열매 먹으면 안되요 / 은행열매 부작용 / 반려견 산책 방법 (7) | 2024.10.15 |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나라 대한민국 - 뉴욕타임스(NYT) 기사 (10) | 2024.10.13 |
강아지 털갈이 시기와 털 관린 방법 - 좋은 빗으로 빗질만 잘해줘도 됩니다 (13) | 2024.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