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류 제작 용어 완벽 가이드: 공장부터 도소매점까지, 현장에서 바로 쓰는 핵심 용어 총정리

홀로지식 2025. 2. 16.
반응형

 

옷 한 벌이 만들어지기까지, 공장과 도소매 현장에서는 수많은 전문 용어들이 사용됩니다.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정확한 업무 처리를 위해 의류 제작 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핵심 용어들을 공장 - 도매 - 소매 단계별로 상세하게 정리했습니다.

 

 

기대 효과 및 검색 방법

 

생산 효율 공장 용어 완벽 이해로 작업 지시 및 소통 오류 최소화

 

판매 전략 도소매 용어 마스터하여 시장 트렌드와 고객 니즈 완벽 파악

 

경쟁력 업계 전문 용어 활용으로 바이어 및 고객 신뢰도 상승

 

찾고자 하는 단어를 Ctrl +F 키를 이용해 검색

 

 

 

 

 

의류 제작 공장 핵심 용어 (Factory Terminology)

 

의류 제작의 심장, 공장에서는 옷의 생산과 관련된 다양한 전문 용어가 사용됩니다.

 

생산 공정, 자재 관리, 품질 검수 등 각 단계별 핵심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해보세요.

 

 

 

 

1. 생산 공정 관련 용어 (Production Process Terms)

 

가다(Gada)

- 옷의 형태를 결정하는 패턴, , 형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 디자인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예시: "이 옷 가다는 너무 밋밋한 것 같아. 좀 더 입체적으로 수정해봐."

 

가봉(假縫, Gabong)

- 본격적인 봉제 전, 패턴을 이용하여 원단 위에 임시 재단 및 간단 봉제하여 옷의 핏(Fit)을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 디자인 수정 및 패턴 보완에 필수적입니다.

- 예시: "가봉 단계에서 핏을 정확하게 확인해야 옷이 완성되었을 때 만족스러울 거예요."

 

가리누이(Garinu-i)

- 시침질 또는 피팅을 목적으로 임시 봉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가봉 단계에서 핏 수정 시 용이합니다.

- 예시: "가리누이 해놓은 옷 입어보고 핏 수정할 부분 있으면 말해줘."

 

견본(見本, Gyeonbon)

- 샘플 제작 전, 디자인 및 소재 확인을 위해 간단하게 제작하는 초기 형태의 옷입니다.

- 디자인 방향 설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예시: "견본을 만들어보고 디자인 수정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고다찌(Godachi)

- 맞춤 재단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 고객 체형에 맞춘 1:1 맞춤 의류 제작에 사용됩니다.

- 예시: "이 옷은 고다찌로 진행해야 체형에 딱 맞게 만들 수 있어."

 

그레이딩(Grading)

- 기본 패턴을 기준으로 다양한 사이즈 (S, M, L, XL )의 패턴을 제작하는 작업입니다.

- 대량 생산의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 예시: "그레이딩 작업을 통해 S부터 XL까지 다양한 사이즈의 옷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나라시 (Narasi)

- 재단 전 원단을 넓게 펼쳐 주름 없이 고르게 펴는 작업입니다.

- 재단 오차를 줄이고 원단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 예시: "원단 나라시 제대로 안 하면 재단할 때 오차가 생길 수 있어."

 

납품(納品, Nap-pum)

- 완성된 의류를 주문처에 전달하는 생산의 최종 단계입니다.

- 예시: "납품 기한을 맞추기 위해 생산 일정을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Deom)

- 주문 수량보다 조금 더 많이 생산하는 추가 생산량입니다.

- 불량 발생 대비 및 여유분 확보를 위해 생산합니다.

- 예시: "혹시 모를 불량에 대비하여 덤을 조금 더 생산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찌(Dachi)

- 재단 또는 재단사를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 재단 작업자를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 예시: "다찌에게 패턴 넘겨줬으니 이제 재단 작업 시작될 거야."

 

마감(Ma-gam)

- 옷의 끝부분을 정리하여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입니다.

- 소매, 밑단, 넥라인 등 다양한 부분에 적용됩니다.

- 예시: "소매 마감을 깔끔하게 해야 옷의 완성도가 높아집니다."

 

마카(Marka)

- 재단 시 원단 위에 패턴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작업입니다.

- 원단 낭비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입니다.

- 예시: "마카 잘해야 원단 낭비 없이 옷을 많이 만들 수 있어."

 

메지(Mage)

- 원단과 원단을 봉제할 때 생기는 단차를 줄이기 위해 한쪽 원단을 얇게 깎아내는 작업입니다.

- 봉제면을 매끄럽게 처리합니다.

- 예시: "어깨 봉제 부분은 메지 작업을 해야 옷이 훨씬 자연스럽게 떨어져."

 

목 나시(Mok Nasi)

- 목 부분의 늘어짐 방지 및 디자인 포인트를 위해 바이어스 테이프 등으로 덧대는 작업입니다.

- 넥라인의 내구성을 강화합니다.

- 예시: "티셔츠 목 나시 작업 꼼꼼하게 해야 늘어짐 없이 오래 입을 수 있어."

 

바라시(Barasi)

- 이미 봉제된 옷을 다시 뜯는 작업입니다.

- 불량 수정, 디자인 변경, 샘플 수정 시 필요한 작업입니다.

- 예시: "이 부분 봉제가 잘못됐으니 다시 바라시해서 제대로 봉제해 주세요."

 

봉제(縫製, Bongje)

- 재단된 원단을 실과 바늘을 사용하여 옷의 형태로 만드는 핵심 공정입니다.

- 다양한 봉제 기법이 사용됩니다.

- 예시: "봉제 라인 효율을 높여서 생산량을 늘려야 납기를 맞출 수 있습니다."

 

세후리(Sehuri)

- 봉제 후 원단의 끝부분을 정리하는 시접 처리 작업입니다.

- 오버로크, 바이어스 처리 등을 통해 깔끔하게 마감합니다.

- 예시: "세후리 깔끔하게 안 하면 옷이 지저분해 보일 수 있어."

 

시다(Sida)

- 봉제 보조 작업자를 의미합니다.

- 봉제사의 작업을 돕거나 간단한 봉제 작업을 지원합니다.

- 예시: "시다 인원이 부족해서 봉제 라인이 제대로 안 돌아가고 있어."

 

시야게(Siyage)

- 다림질, 검품, 포장 등 옷을 완성하는 최종 단계를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 출고 준비를 마무리하는 단계입니다.

- 예시: "시야게 작업 꼼꼼하게 해서 불량률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야리끼리(Yarikiri)

- 정해진 시간 안에 작업 완료를 목표로 하는 작업 방식입니다.

- 잔업 최소화 및 생산 효율 향상을 위한 방식입니다.

- 예시: "오늘은 야리끼리로 진행해서 6시 칼퇴근합시다!"

 

재단(裁斷, Jaedan)

- 디자인과 패턴에 따라 원단을 자르는 가장 기본적인 공정입니다.

- 수동, 자동 재단 방식이 사용됩니다.

- 예시: "재단 작업 시 패턴대로 정확하게 잘라야 봉제 과정에서 오차가 줄어듭니다."

 

제끼미(Jekkimi)

- 두 장의 원단을 겹쳐서 한 번에 재단하는 방식입니다.

- 대량 생산 시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 예시: "제끼미 재단으로 생산 속도를 단축시켜 봅시다."

 

카케시(Kakesi)

- 직선 봉제에 사용되는 본봉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 가장 기본적인 봉제 방식입니다.

- 예시: "주머니는 카케시 봉제로 튼튼하게 부착해야 합니다."

 

패턴(Pattern)

- 옷의 각 부분 모양을 그린 본()으로, 재단 작업의 기준이 됩니다.

- 종이, CAD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제작합니다.

- 예시: "패턴 수정 사항 반영해서 새로운 패턴으로 다시 뽑아주세요."

 

 

 

 

 

2.자재 관련 용어 (Material Terms)

 

부자재 (副資材, Buja-jae)

- 원단 외에 옷 제작에 필요한 모든 재료를 통칭합니다.

- 단추, 지퍼, , 레이스, 라벨, (Tag) 등이 포함됩니다.

- 예시: "부자재 발주량이 부족하니 자재팀에 확인해서 빨리 확보해 줘."

 

무시(Musi)

- 옷의 형태를 잡아주거나 보강하기 위해 겉감과 안감 사이에 넣는 심지를 일본식 발음으로 지칭합니다.

- 예시: "카라 부분에 무시를 넣어줘야 빳빳하게 각이 살아."

 

원단(原緞, Wondan)

- 옷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천을 의미합니다.

- , 폴리에스터, 실크, 데님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 예시: "이번 시즌 신상 원단 컬러 정말 예쁘게 나왔네."

 

니혼바리(Nihonbari)

- 두 줄 봉제 방식인 쌍침을 일본식 발음으로 지칭합니다.

- 장식 효과와 내구성을 동시에 높여줍니다.

- 예시: "니혼바리 스티치로 포인트를 줘서 디자인을 살려봅시다."

 

다대 테이프(Dadae Tape)

- 봉제선 안쪽에 덧대는 테이프로, 늘어짐 방지, 형태 안정 효과를 제공합니다.

- 어깨선, 암홀 등에 사용됩니다.

- 예시: "어깨선에 다대 테이프를 넣어줘야 옷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론테이프(Ron Tape)

- 안단, 시접 등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얇은 테이프입니다.

- 넥라인, 소매단 등에 사용됩니다.

- 예시: "넥라인 안쪽에 론테이프 처리해서 착용감을 높여주세요."

 

마찌(Matji)

- 옷의 특정 부분에 덧대는 원단 조각으로, 덧단을 일본식 발음으로 지칭합니다.

- 디자인 포인트 및 기능성 강화를 위해 사용됩니다.

- 예시: "주머니 덮개에 마찌를 덧대서 포인트를 줘봤습니다."

 

바이어스(Bias)

- 원단 조직의 사선 방향을 의미하며, 이 방향으로 재단 시 신축성이 증가합니다.

- 곡선 처리, 바인딩 등에 활용됩니다.

- 예시: "넥라인 바이어스 처리로 깔끔하게 마무리해 주세요."

 

보강 테이프(補強 Tape, Bogang Tape)

- 봉제 부분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덧대는 테이프입니다.

- 지퍼 부착 부위 등에 사용됩니다.

- 예시: "지퍼 부착 부분에 보강 테이프를 덧대서 튼튼하게 만들어주세요."

 

본딩(Bonding)

- 두 장의 원단을 접착제로 붙이는 가공 방식입니다.

- 겉감-안감 합체, 심지 접착 등에 사용됩니다.

- 예시: "겨울 코트는 겉감과 안감을 본딩해서 보온성을 높입니다."

 

후다(Huda)

- 덮개를 일본식 발음으로 지칭하며, 주머니 덮개, 단추 덮개 등 덮개 역할을 하는 부자재를 의미합니다.

- 예시: "주머니에 후다를 달아서 디자인 포인트를 줘봤습니다."

 

 

 

 

 

3. 생산 및 관리 관련 용어(Production & Management Terms)

 

나나인찌(Nana Inchi)

- 7인치 (18cm) 이내의 봉제 불량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 경미 불량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예시: "나나인찌 불량은 경미 불량으로 처리하고, 그 이상은 불량 반품 처리합니다."

 

네지(Neji)

- 원단이 꼬이거나 비틀린 상태의 봉제 불량을 일본식 발음으로 지칭합니다.

- 봉제 품질 관리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 예시: "네지 불량 발생하지 않도록 봉제 과정에서 주의해야 합니다."

 

노마진(No Margin)

- 이윤 없이 원가로 판매하는 가격 정책입니다.

- 재고 소진, 고객 유치 전략으로 활용됩니다.

- 예시: "이번 시즌 이월 상품은 노마진 세일로 진행합니다."

 

데끼(Dekki)

- 기계 직기 또는 직조된 원단 자체를 일본식 발음으로 지칭합니다.

- 원단 종류를 구분할 때 사용됩니다.

- 예시: "데끼 원단은 짜임이 촘촘해서 내구성이 좋습니다."

 

(Ttaeng)

- 재고 상품을 헐값에 판매하는 것을 의미하며, '땡처리'라고도 합니다.

- 재고 처분 방식 중 하나입니다.

- 예시: "재고가 너무 많이 쌓여서 땡으로라도 처분해야 할 것 같아요."

 

땡값(Ttaenggap)

- 재고 상품 헐값 판매 가격을 의미합니다.

- 매우 저렴한 가격을 강조하는 마케팅 용어로 사용됩니다.

- 예시: "땡값에 판매하니 이번 기회에 득템하세요!"

 

마이깡(Maikkang)

- 외상 거래를 일본식 발음으로 지칭하며, 후불 결제 방식을 의미합니다.

- 거래처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집니다.

- 예시: "오랜 거래처라서 이번에는 마이깡으로 진행해 드리기로 했습니다."

 

미송(未送, Misong)

- 주문 물품 중 아직 입고되지 않은 상품을 의미합니다.

- 배송 지연 상황 발생 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 예시: "주문하신 상품 중 일부가 현재 미송 상태입니다. 다음 주에 입고될 예정입니다."

 

미싱(Missing)

- 봉제 기계, 재봉틀을 의미합니다.

- 공장 자동화의 핵심 설비입니다.

- 예시: "미싱 소리가 너무 커서 귀마개 없이는 작업하기 힘들어요."

 

합복(合服, Hapbok)

- 두 장 이상의 원단을 겹쳐 봉제하는 기법입니다.

- 내구성 강화, 보온성 향상, 디자인 포인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반사(Bansa)

- 불량 판정 제품을 공장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 품질 관리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 예시: "검품 과정에서 불량률이 너무 높으면 반사될 수 있으니 QC에 신경 써야 해."

 

샘플(Sample)

- 본 생산 전 디자인, 원단, 봉제 등을 확인하기 위해 미리 제작하는 견본품입니다.

- 품질 검증 및 디자인 확정에 사용됩니다.

- 예시: "샘플 확인 후 수정 사항 반영해서 본 생산 진행할 예정입니다."

 

선입선출(先入先出, Seonip-seonchul)

- 먼저 입고된 재고를 먼저 출고하는 재고 관리 방식입니다.

- 재고 관리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 예시: "원단 창고는 선입선출 방식으로 재고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선적 (船積, Seonjeok)

- 화물을 배에 싣는 것을 의미하며, 해외 수출 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 국제 물류의 기본 과정입니다.

- 예시: "다음 주에 유럽으로 선적될 물량 준비에 차질 없도록 해주세요."

 

세 탕(Tang)

- 원단 염색 시 사용되는 염색조, 염료통을 세는 단위입니다.

- 염색 작업 규모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 예시: "이번 시즌 컬러는 총 3가지 탕으로 염색 진행될 예정입니다."

 

오더(Order)

- 주문, 발주를 의미하며, 생산 계획 및 판매량 예측의 기본 단위입니다.

- 예시: "이번 시즌 신규 오더량이 작년보다 20% 증가했습니다."

 

요척(要尺, Yocheok)

- 옷 한 벌 제작에 필요한 원단 양을 의미합니다.

- 원가 계산, 자재 수급 계획의 기초 자료입니다.

- 예시: "이 디자인 요척이 생각보다 많이 나오네. 원가 계산 다시 해봐야겠다."

 

이세(Ise)

- 원단에 주름이나 볼륨감을 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원단 길이에 차이를 주는 봉제 기법을 일본식 발음으로 지칭합니다.

- 디자인 디테일을 살리는 기법입니다.

- 예시: "소매산 부분에 이세를 줘서 봉제해야 볼륨감 있는 소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자수(刺繡, Jasu)

- 실을 사용하여 원단 위에 그림, 글씨 등을 수놓는 기법입니다.

- 디자인 포인트, 브랜드 로고 등에 활용됩니다.

- 예시: "셔츠 포켓에 자수로 로고를 새겨 넣어 고급스러움을 더했습니다."

 

제작(製作, Jejak)

- 옷을 만드는 전 과정을 통칭하며, 디자인, 패턴, 재단, 봉제, 마감 등을 포함합니다.

- 생산 관리의 핵심 범위입니다.

- 예시: "이번 신제품 제작은 국내 공장에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초크(Chalk)

- 재단 시 원단 위에 패턴선, 봉제선을 표시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 재단 정확도를 높이는 필수 도구입니다.

- 예시: "초크로 표시한 선 따라 정확하게 재단해야 합니다."

 

캐파(Capa)

- 'Capacity'의 줄임말로, 공장의 생산 능력, 생산 용량을 의미합니다.

- 생산 가능 물량을 예측하는 지표입니다.

- 예시: "우리 공장 캐파로는 이번 오더 물량 전부 소화하기 힘들 것 같아요."

 

큐큐(QQ)

- 'Quality Quantity'의 줄임말로, 불량 없는 양호 품질 제품 수량을 의미합니다.

- 생산 목표 달성 및 품질 관리를 동시에 강조하는 용어입니다.

- 예시: "이번 생산 라인은 큐큐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 주세요."

 

(, Tang)

- 원단 염색 시 염색조, 염료통을 세는 단위입니다.

- 염색 작업의 규모를 나타냅니다.

- 예시: "이번 시즌 컬러는 총 3가지 탕으로 염색 진행될 예정입니다.“

 

탕 차이

- 같은 색상으로 염색된 원단이라도 염색 롯트()에 따라 색상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태량 생산시 탕 차이 관리가 중요합니다.

 

하찌(Hazzi)

- 세로 방향 골이 있는 니트 원단 (골조직, 립조직 등)을 지칭합니다.

- 시보리, 넥라인 등 탄력이 필요한 부위에 사용됩니다.

- 예시: "맨투맨 티셔츠 넥라인과 소매, 밑단은 하찌 원단으로 제작했습니다.“

 

후끼 Hukki)

- 얼룩, 오염 제거용 에어 스프레이 세척제를 일본식 발음으로 지칭합니다.

- 생산 과정 중 발생하는 오염 제거에 사용됩니다.

예시: ".후끼로 오염된 부분 깨끗하게 제거하고 검품대에 올려주세요.“

 

 

 

 

도소매점 핵심 용어 (Wholesale & Retail Terminology)

 

의류가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위한 핵심 단계, 도소매점

 

판매, 유통, 고객 응대, 매장 관리 등 도소매 현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를 숙지하여 판매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여 보세요.

 

 

 

판매 및 유통 관련 용어 (Sales & Distribution Terms)

 

간절기(換節期, Ganjeolgi)

- 계절이 바뀌는 시기, 즉 봄/여름, 가을/겨울 사이의 애매한 시점을 의미합니다.

- 간절기 의류 (얇은 아우터, 니트, 셔츠 등) 판매 전략이 중요해지는 시기입니다.

- 예시: "이번 주부터 간절기 신상품 디스플레이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개량(改良, Gaeryang)

- 기존 제품의 디자인, 기능, 품질 등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고객 반응, 트렌드 변화를 반영하여 상품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여야 합니다.

- 예시: "지난 시즌 고객 반응이 좋았던 상품을 디자인 개량해서 새로운 컬러로 출시했습니다."

 

견적(見積, Gyeonjeok)

- 상품 판매 또는 서비스 제공 전 예상 가격을 미리 산출하여 제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도매 거래, B2B (기업 간 거래) 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 예시: "대량 구매 시 견적서 요청하시면 할인 혜택 적용하여 보내드리겠습니다."

 

고시(告示, Gosi)

- 소비자에게 알려야 할 상품 정보를 법규에 따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섬유 혼용률, 세탁 방법, 제조국 등 필수 정보를 라벨, 택 등에 정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 예시: "의류 제품에 고시 정보 라벨 부착하는 것 잊지 마세요."

 

공임(工賃, Gongim)

-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건비를 의미합니다.

- 의류 제작 공장에서는 봉제 공임, 재단 공임 등으로 세분화하여 원가 계산에 반영합니다.

- 예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봉제 공임이 상승하여 제품 원가가 올라갔습니다."

 

구좌(口座, Gujwa)

- 거래처, 고객 등을 지칭하는 도매 업계 은어입니다.

- 주로 도매 시장에서 사용됩니다.

- 예시: "이번 시즌 신규 구좌 확보 목표 달성률이 저조합니다."

 

끼로시(Kkirosi)

- 정품을 의미하는 일본식 발음 용어로, 정상적인 유통 경로를 거쳐 판매되는 상품을 지칭합니다.

- 가품, 덤핑 상품과 구분되는 개념입니다.

- 예시: "저희 매장에서 판매하는 모든 상품은 끼로시 제품이니 안심하고 구매하세요."

 

난닝구(Nanninggu)

- 민소매 런닝 셔츠를 속되게 이르는 비표준어입니다.

 

네고(Nego)

- 가격 협상, 가격 할인을 의미하는 콩글리쉬입니다.

-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가격 조정 시 사용됩니다.

- 예시: "가격 네고 가능할까요? 조금만 더 할인해 주시면 바로 구매할게요."

 

노세일(No Sale)

- 정상 가격 판매 정책을 의미합니다.

- 세일, 할인 행사를 진행하지 않는 브랜드나 매장에서 사용하는 판매 전략입니다.

- 예시: "저희 브랜드는 고품질 유지 정책으로 인해 기본적으로 노세일 브랜드입니다."

 

노딱(Nottaek)

- 할인 딱지가 붙은 상품을 속되게 이르는 비표준어입니다.

- 재고 상품, 이월 상품 판매 코너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 예시: "노딱 상품 코너에서 저렴하게 득템하세요!"

 

니트(Knit)

- 실을 엮어 만든 옷감 또는 옷을 통칭합니다.

- 스웨터, 가디건, 니트 티셔츠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 예시: "올겨울에는 따뜻한 니트 소재의 의류가 유행할 전망입니다."

 

다라이(Darai)

- , 원단 염색, 세탁 시 사용하는 큰 대야를 일본식 발음으로 지칭합니다.

- 염색 업계 은어로 '염색' 자체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 예시: "오늘 다라이 작업은 몇 시쯤 끝날 예정인가요?"

 

단가라(Dangara)

- 가로 줄무늬, 즉 스트라이프 패턴을 일본식 발음으로 지칭하는 은어입니다.

- 예시: "단가라 티셔츠는 캐주얼하게 코디하기 좋아요."

 

(Ttaeng)

- 재고 상품을 헐값에 판매하는 '땡처리'를 줄여서 이르는 용어입니다.

- 예시: "이번 시즌 이월 상품 땡으로 저렴하게 판매합니다."

 

땡도매(Ttaeng Domae)

- 재고 상품을 헐값에 도매로 판매하는 형태입니다.

- 동대문 도매 시장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거래 방식입니다.

- 예시: "땡 도매로 저렴하게 물건 가져가서 마진 많이 남겨보세요."

 

땡소매(Ttaeng Somae)

- 재고 상품을 헐값에 소매로 판매하는 형태입니다.

- 온라인 쇼핑몰, 창고형 매장 등에서 활용됩니다.

- 예시: "온라인 땡 소매 쇼핑몰에서 득템 찬스를 잡아보세요."

 

마네킹(Mannequin)

- 옷을 입혀 전시하는 인체 모형입니다.

- 매장 디스플레이의 핵심 요소이며, 상품 홍보 효과를 높여줍니다.

- 예시: "신상품은 마네킹에 입혀서 매장 중앙에 전시해 주세요."

 

마킹(Marking)

- 세탁소에서 옷에 붙이는 표찰을 의미합니다.

- 고객 옷 구분, 세탁 정보 표기 등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에 활용됩니다.

- 예시: "세탁 맡기신 옷에 마킹 꼼꼼하게 해서 분실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마수(魔手, Masu)

- 하루 매출의 첫 번째 고객, 첫 판매를 의미하는 속어입니다.

- 긍정적인 하루 시작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 예시: "오늘 마수 빨리 터서 기분 좋게 하루 시작해 봅시다!"

 

매끼(Mekki)

- 금속 부자재에 도금 가공하는 것을 일본식 발음으로 지칭합니다.

- 액세서리, 단추, 지퍼 슬라이더 등 제품 고급화에 사용됩니다.

- 예시: "단추에 금 매끼를 입혀서 고급스러운 느낌을 더했습니다."

 

메란지(Melange)

- 두 가지 이상 색상의 실을 섞어 짜낸 원단 색상을 의미합니다.

- 자연스러운 색감과 질감 표현이 가능하여 다양한 의류에 활용됩니다.

- 예시: "메란지 원단으로 제작한 티셔츠는 은은한 색감이 매력적입니다."

 

무지(無地, Muji)

- 무늬가 없는 단색 원단을 의미합니다.

- 베이직, 미니멀 스타일 의류 제작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 예시: "무지 티셔츠는 어떤 옷에도 잘 어울려서 활용도가 높아요."

 

미끼상품

- 고객 유인 목적으로 저렴하게 판매하는 상품입니다.

- 고객 유입 증대 및 추가 상품 구매 유도를 위한 전략입니다.

- 예시: "파격적인 가격의 미끼 상품으로 고객들을 매장으로 유인해 봅시다."

 

- 반품(返品, Banpum)

- 구매 상품을 판매자에게 되돌려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 불량, 사이즈 미스, 고객 변심 등 다양한 사유로 발생합니다.

- 환불 절차와 함께 이루어집니다.

- 예시: "반품 접수된 상품은 검수 후 환불 처리해 드릴 예정입니다."

 

박리다매(薄利多賣, Baklida Mae)

- 낮은 이윤을 남기고 많은 양을 판매하는 판매 전략입니다.

- 가격 경쟁력 확보, 대량 판매를 통한 수익 증대를 목표로 합니다.

- 예시: "박리다매 전략으로 판매량을 늘려서 매출을 극대화해 봅시다."

 

바잉(Buying)

- 상품 구매, 사입 행위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 도소매 업계 전반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 예시: "다음 시즌 신상품 바잉을 위해 해외 출장을 다녀올 예정입니다."

 

바지 기장(Baji Gijang)

- 바지 길이, 즉 바지 총장을 의미합니다.

- 수선 시 가장 기본적인 수선 항목입니다.

- 예시: "바지 기장이 너무 길어서 수선해야 할 것 같아요."

 

보세(保稅, Bose)

- 세금 보류 상태 또는 해당 상품을 의미합니다.

- 보세 의류는 수입 절차 간소화, 가격 경쟁력 확보 등의 특징을 가집니다.

- 동대문 도매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 예시: "동대문 도매 시장에는 보세 의류 매장이 많습니다."

 

복종(服種, Bokjong)

- 의류, 직물 업계에서 품목, 종류를 세는 단위입니다.

- 셔츠 복종, 바지 복종 등 상품 카테고리를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 예시: "이번 시즌에는 여성복 복종을 강화하여 상품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부도(不渡, Budo)

- 수표, 어음을 결제일에 결제하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거래처 부도는 경영 악화의 심각한 징조로 간주됩니다.

- 예시: "거래처에서 부도가 나서 대금 회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비죠(Bijou)

- 허리 벨트 고리, 소매단 장식 등 옷에 부착하는 작은 장식물을 의미합니다.

- 디자인 포인트, 액세서리 역할을 합니다.

- 디자인 포인트를 강조하거나, 옷의 기능적인 부분을 보완합니다.

- 예시: "허리 벨트 비죠 장식으로 포인트를 더했습니다.“

 

사입(仕入, Saip)

- 상품을 구매하여 매장에 들여놓는 도소매 업계 핵심 업무입니다.

- 상품 경쟁력 확보와 매장 운영의 시작점입니다.

- 예시: "내일 동대문 시장에 신상품 사입하러 갈 예정입니다."

 

사쿠라(Sakura)

- 매출 증진 목적으로 고용된 아르바이트, 또는 그러한 행위를 속되게 이르는 비표준어입니다.

-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판매 방식입니다.

- 예시: "손님이 너무 없어서 사쿠라라도 써야 할 판이야."

 

상차(上車, Sangcha)

- 물건을 차에 싣는 것을 의미합니다.

- 도매 시장에서 사입한 물건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 예시: "오늘 사입한 물건 상차 완료했습니다."

 

생지(生地, Saengji)

- 가공되지 않은 날것의 원단을 의미합니다.

- 염색, 워싱 등 후가공을 통해 다양한 질감과 색상의 원단으로 변화합니다.

- 예시: "데님 생지 원단으로 청바지를 제작하여 빈티지한 느낌을 살렸습니다."

 

선결제(先決濟, Seon-gyeolje)

- 물건을 받기 전에 먼저 대금을 지불하는 결제 방식입니다.

- 신규 거래처, 고가 상품 거래 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예시: "신규 거래처라서 선결제 조건으로 진행해야 할 것 같습니다."

 

선불(先拂, Seonbul)

- 운송료, 택배비 등을 먼저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착불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 예시: "택배는 선불로 보내주세요."

 

세루(Seru)

- 재고 정리, 할인 판매를 의미하는 일본식 발음 용어입니다.

- 세일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며, 재고 소진 및 매출 증진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 예시: "이번 주말부터 봄 신상품 세루 Sale 진행합니다."

 

세일(Sale)

- 정해진 기간 동안 할인된 가격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행사입니다.

-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고객 유입 및 매출 증대를 꾀합니다.

- 예시: "여름 정기 세일 기간 동안 최대 80%까지 할인 판매합니다."

 

소킹(Soaking)

- 원단 수축 방지, 질감 개선 등을 위해 원단을 물에 담가 불리는 작업입니다.

- 주로 데님, 린넨 등 천연 섬유 원단에 적용합니다.

- 예시: "데님 원단은 소킹 작업 후 재단해야 수축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수미즈(Sumise)

- 속옷을 의미하는 일본식 발음 용어입니다.

 

스판덱스(Spandex)

- 신축성이 뛰어난 섬유입니다. 의류에 혼방하여 착용감과 활동성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 예시: "스판덱스 혼방 소재 레깅스는 활동성이 뛰어나 운동복으로 제격입니다."

 

시끼(Sikki)

- 제철, 시즌을 의미하는 일본식 발음 용어입니다.

- '시즌 상품', '시즌 오프' 등과 함께 사용되어 특정 시기에 집중 판매하는 상품을 지칭합니다.

- 예시: "시끼 상품은 짧은 기간에 집중적으로 판매해야 합니다."

 

시보리(Sibori)

- 니트, 티셔츠 소매, 넥라인, 밑단 등에 사용되는 골지 편직물입니다.

- 쫀쫀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형태 안정 및 착용감 향상에 기여합니다.

- 예시: "맨투맨 티셔츠 소매와 넥라인은 시보리 처리로 마감했습니다."

 

시즌 오프(Season Off)

- 시즌 종료 시점에 재고 소진을 위해 대폭 할인 판매하는 행사입니다.

- 소비자들에게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 예시: "이번 주말부터 가을 시즌 오프 세일이 시작됩니다."

 

신상(新商, Sinsang)

- 새롭게 출시된 상품, 신제품을 의미합니다.

- 신상품 입고 시 매장 디스플레이, 홍보 등을 강화하여 고객 유입을 유도합니다.

- 예시: "이번 주 신상 입고되었습니다! 매장에 방문하셔서 직접 착용해보세요."

 

야상(野上, Yasang)

- 야전상의의 줄임말로, 군용 점퍼 스타일의 옷을 의미합니다.

- 캐주얼하고 활동적인 스타일 연출에 용이하며 남녀 모두에게 인기 있는 아이템입니다.

- 예시: "야상 점퍼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입는 아이템입니다."

 

에누리(Enuri)

- 가격을 깎아주는 행위 또는 깎아주는 가격 자체를 의미합니다.

- 고객과의 가격 협상 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 예시: "에누리 해달라고 손님이 깎아달라고 하면 기분 좋게 에누리 해드릴께요."

 

오더(Order)

- 주문, 발주를 의미하며, 소매점-도매점, 도매점-공장 간 상품 주문 시 사용되는 기본적인 용어입니다.

- 예시: "이번 주 신상 반응이 좋아서 리오더 (Re-order, 추가 주문) 넣어야 할 것 같아요."

 

와끼(Wakki)

- , 겨드랑이를 의미하는 일본식 발음 용어로, 옷의 옆선 봉제 부분을 지칭합니다.

- 옷의 핏감을 좌우하는 중요한 봉제 라인 중 하나입니다.

- 예시: "이 옷은 와끼 라인이 예쁘게 빠져서 핏이 좋아요."

 

요꼬(Yokko)

- 가로, 횡을 의미하는 일본식 발음 용어로, 원단의 가로 방향 또는 가로 줄무늬(단가라)를 지칭합니다.

- 예시: "요꼬 방향으로 스트라이프 패턴이 들어가 있어서 좀 더 트렌디해 보여요."

 

우라(Ura)

- , 를 의미하는 일본식 발음 용어로, 옷의 안감 또는 안쪽 면을 지칭합니다.

- 안감 소재에 따라 옷의 착용감, 보온성이 달라집니다.

- 예시: "이 코트는 우라 기모 안감으로 되어 있어서 한겨울에도 따뜻하게 입을 수 있어요."

 

(Wool)

- 양모, 양털을 의미하며, 겨울 의류 소재로 널리 사용됩니다.

- 보온성과 고급스러운 질감이 특징입니다.

- 예시: "100% 코트는 가격은 비싸지만, 확실히 따뜻하고 오래 입을 수 있어요."

 

이월 상품(移越商品, Iwol Sangpum)

- 지난 시즌 판매 후 남은 재고 상품을 의미합니다.

- 할인 판매를 통해 재고를 소진하며, 소비자에게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 예시: "이월 상품 코너에서 득템 찬스를 노려보세요!"

 

자바라(Jabara)

- 주름, 셔링 등을 의미하는 일본어입니다.

- 옷에 주름 장식을 넣거나 셔링을 잡는 기법을 지칭하며, 여성복 디자인에 많이 활용됩니다.

- 예시: "스커트 허리 부분에 자바라 주름을 넣어서 여성스러운 느낌을 살렸어요."

 

잔량(殘量, Janryang)

- 남은 수량, 즉 재고 수량을 의미합니다.

- '잔여 수량'의 줄임말이며, 판매 현황 파악 및 재고 관리의 기본 정보입니다.

- 예시: "현재 이 상품 잔량 얼마 남지 않았으니 서두르세요!"

 

장끼(Jangkki)

- 거래 명세표, 송장 등을 의미하는 도매 업계 은어입니다.

- 거래 내역 확인 및 운송 정보 파악에 사용됩니다.

- 예시: "물건 보낼 때 장끼 꼭 챙겨서 보내주세요."

 

젠다이(Zendai)

- 진열대를 의미하는 일본식 발음 용어로, 매장에서 상품을 진열하는 가구, 선반 등을 지칭합니다.

- 상품 디스플레이의 기본 요소입니다.

- 예시: "신상품 젠다이 위치를 매장 입구 쪽으로 옮겨서 고객 눈에 잘 띄게 해 주세요."

 

정찰제(定札制, Jeongchalje)

- 정해진 가격으로만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 가격 흥정 없이 고정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정책으로,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 예시: "저희 매장은 모든 상품 정찰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깅스(Jeggins)

- 레깅스와 진(Jean)의 합성어로, 레깅스처럼 편안하면서 청바지처럼 스타일리시하게 연출 가능한 바지를 의미합니다.

- 예시: "제깅스는 레깅스처럼 편안하면서도 청바지처럼 스타일리시하게 연출할 수 있어서 인기 아이템이에요."

 

조끼(Jokki)

- 소매 없는 덧옷, 즉 베스트를 의미합니다.

- 보온성을 높이거나 레이어드 스타일 연출에 유용합니다.

- 예시: "쌀쌀한 날씨에는 조끼를 레이어드해서 따뜻하게 코디해보세요."

 

지누이(Jinui)

- "제대로 꿰매기"를 의미하는 일본식 발음 용어로, 꼼꼼하고 튼튼한 봉제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제품 퀄리티를 어필할 때 사용됩니다.

- 예시: "이 옷은 지누이 봉제로 제작되어서 퀄리티가 정말 좋아요."

 

카라(Collar)

- 옷깃, 깃을 의미하며, 셔츠, 코트, 원피스 등 다양한 의류 디자인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 예시: "차이나 카라 셔츠는 깔끔하고 단정한 느낌을 줍니다."

 

카운터(Counter)

- 매장 계산대, 판매대, 접객대 등을 의미합니다.

- 고객 응대, 결제, 상품 포장 등 판매의 핵심 공간입니다.

- 예시: "계산은 카운터에서 도와드리겠습니다."

 

코사지(Corsage)

- , 가방 등에 장식하는 꽃 모양 장식품입니다.

- 브로치 형태로 제작되어 탈부착이 용이하며, 여성 의류 포인트 장식으로 활용됩니다.

- 예시: "원피스에 코사지를 달아서 포인트를 줘봤어요."

 

코트(Coat)

- 겉옷, 외투를 통칭합니다.

- 겨울철 방한 필수 아이템이며,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로 출시됩니다.

- 예시: "겨울 코트는 보온성뿐만 아니라 스타일까지 고려해서 신중하게 골라야 해요."

 

쿠폰(Coupon)

-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하는 증표입니다.

- 고객 유치, 재구매 유도, 프로모션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됩니다.

- 예시: "신규 회원 가입 시 10% 할인 쿠폰을 증정해 드립니다."

 

크롭(Crop)

- "잘라내다, 짧게 하다"라는 의미로, 기장이 짧은 상의를 지칭합니다.

- 크롭 티셔츠, 크롭 재킷 등 젊은 층 사이에서 인기 있는 스타일입니다.

- 예시: "크롭 기장의 상의는 다리가 길어 보이는 효과를 줍니다."

 

(Tag)

- 상품에 부착된 가격표, 브랜드 정보, 취급 주의사항 등이 기재된 꼬리표입니다.

- 상품 정보 제공 및 판매 관리에 필수적입니다.

- 예시: "새 상품 택 제거하지 마시고 그대로 보내주세요."

 

텍스(Tax)

- 세금, 부가세를 의미합니다.

- 상품 가격 표기 시 세금 포함 여부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 예시: "이 가격은 텍스 포함 가격인가요?"

 

텐셀(Tencel)

- 유칼립투스 나무에서 추출한 친환경 섬유입니다.

- 부드러운 촉감, 흡수성, 통기성이 뛰어나 기능성 의류, 잠옷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 예시: "텐셀 소재 잠옷은 피부에 자극이 적고 쾌적해서 숙면을 도와줍니다."

 

트렌치코트(Trench Coat)

- 개버딘 소재의 방수 외투입니다.

- 클래식하고 세련된 디자인으로 가을 대표 아우터로 자리매김했습니다.

- 예시: "트렌치코트는 가을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아우터죠."

 

폴리(Poly)

- 폴리에스터 섬유를 의미합니다.

- 구김 방지, 내구성, 관리 용이성 등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의류에 활용되는 대표적인 합성 섬유입니다.

- 예시: "폴리 소재 셔츠는 세탁 후 다림질 없이 바로 입을 수 있어서 편해요."

 

피팅(Fitting)

- 옷을 입어보는 행위입니다.

- 사이즈, 디자인, 착용감 등을 고객이 직접 확인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 예시: "피팅룸에서 편하게 옷 입어보시고 사이즈 말씀해 주세요."

 

피팅모델(Fitting Model)

- 옷을 입고 사진 촬영하는 전문 모델입니다.

- 온라인 쇼핑몰, 의류 브랜드에서 상품 홍보, 판매 촉진을 위해 활용합니다.

- 예시: "저희 쇼핑몰 피팅 모델은 핏감이 좋기로 유명해요."

 

(Poom)

- 옷의 품, 옷의 너비를 의미합니다.

- 사이즈 선택 시 중요한 고려 요소이며, '품이 크다/작다', '품을 늘리다/줄이다' 등으로 표현합니다.

- 예시: "이 옷은 품이 좀 크게 나온 것 같아요. 한 사이즈 작게 입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혼방(混紡, Honbang)

- 두 가지 이상 섬유를 섞어서 만든 원단을 의미합니다.

- 각 섬유의 장점을 결합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기능성, 심미성을 높입니다.

- 예시: "면과 폴리에스터 혼방 소재는 면의 부드러움과 폴리에스터의 내구성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섬유 약어 정리

의류에 표시된 섬유 혼용률과 섬유 약어  평소 의류를 구입했을 때 의류 내부 조견표를 보면 섬유의 혼용률이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그 혼용률이 약어로 되어 있어서 정확한 내용을 알지 못

naver-knowledgein.tistory.com

 

 

의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단 12종 원단별 특징, 장점, 단점, 주요 용도, 세탁 및 관리 팁

옷을 만들 때 또는 옷을 구입할 때 어떤 원단을 선택해야 할까요? 옷의 종류, 디자인, 계절, 그리고 원하는 기능에 따라 적합한 원단은 천차만별입니다. 특히 요즘처럼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유

naver-knowledgein.tistory.com

 

천연섬유 특징 및 세탁방법

천연섬유(天然纖維)란?  천연의 생물, 광물에서 얻어지는 섬유를 지칭 자연섬유(自然纖維)라고도 함  솜, 삼 껍질, 명주실, 털 따위의 천연물의 세포로 된 섬유를 가리킨다   1. 면(Cotton)•

naver-knowledgein.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