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25울트라 vs 갤럭시S24울트라 제대로 비교 출시가격, 기본스펙, 성능 총정리 가격동결 S25울트라초광각 리튬이온배터리
안드로이드 진영의 아이폰, 삼성 갤럭시 S25 울트라
▪ 삼성전자가 2025년 1월 22일[UTC] 삼성 갤럭시 언팩 2025에서 공개한 갤럭시 S 시리즈 소속 플래그십 Android 스마트폰
▪ 시리즈 코드네임은 Paradigm
▪ 안드로이드진영의 절대 강자로 군림하고 있는 삼성의 최상위 플래그십 모델로 애플의 아이폰의 대항마(?)의 위치에 있는 제품
갤럭시 S25 울트라 VS 갤럭시 S24 울트라 비교
▪ 기본 스펙, 출고 가격
- 여전히 램크루지 삼성답게 최상위 플래그십 제품에 여전히 12GB의 램용량 탑재
- 중국제품의 경우 플래그십이 아닌 기본, 일반, 저가형 모델에도 16GB의 램용량을 탑재하는 상황에서 삼성의 이런 원가절감 행보는 큰 문제로 작용
- 특히 전작의 경우 중국, 미국등에서 출시한 제품에 한국과 달리 16GB 램을 탑재해 출시했는데 이는 대한민국 자국국민에 대한 역차별 논란이 일었었음
- 램용량 16GB탑재를 원할경우 선택지는 삼성닷컴/강남전용 모델을 더 비싼 가격으로 구입해야 하는 상황
- 기본 12GB 용량의 제품에서 전작과 동일한 가격(가격동결)
제품명 | 갤럭시S25울트라 | 갤럭시S24울트라 |
모델명 | SM-S938N | SM-S928N |
제조사 | 삼성전자 | 삼성전자 |
출시일 | 2025. 02 | 2024. 01 |
출고가 | 램 12GB 일반모델 -256GB : 1,698,400원 -512GB : 1,841,40000원 -1TB : 2,127,400원 삼성닷컴/강남 전용(램 16GB) -1TB : 2,249,500원 |
램 12GB 일반모델 -256GB : 1,698,400원 -512GB : 1,841,40000원 -1TB : 2,127,400원 삼성닷컴/강남 전용 -전용 색상만 선택 가능 |
출시 OS | 안드로이드 15 | 안드로이드 14 |
주요재질 | 티타늄코팅 알루미늄, 유리 | 티타늄코팅 알루미늄, 유리 |
크기 | 77.6 x 162.8 x 8.2(mm) | 79 x 162.3 x 8.6(mm) |
무게 | 218 g | 233 g |
유심 | 나노유심 | 나노유심 |
연결단자 | USB Type-C | USB Type-C |
네트워크 | 5G | 5G |
▪ 화면
- 전작 대비 차이 거의 없음
- 전작대비 크기가 살짝 작아졌지만 베젤두께를 줄이면서 더 넓은 화면 확보
- 일반 소비자들은 사용함에 차이를 느끼지 못할 수준으로 매우 미세한 차이
제품명 | 갤럭시S25울트라 | 갤럭시S24울트라 |
크기 | 6.8 인치(대각선 174.2mm) | 6.8 인치(대각선 172.5mm) |
가변 주사율 | 1-120 Hz | 1-120 Hz |
화면 타입 | QHD+ Dynamic AMOLED 2X | QHD+ Dynamic AMOLED 2X |
해상도 | 1440 x 3120 | 1440 x 3120 |
Pixel/Inch | 498 ppi | 501 ppi |
화면 폭 | 72.38 mm | 72.38 mm |
화면 높이 | 156.82 mm | 156.82 mm |
특징 | Infinity-O DisplayAlways-On DisplayHDR10+ | Infinity-O DisplayAlways-On DisplayHDR10+ |
글라스 | 코닝® 고릴라® 아머 2 | 코닝® 고릴라® 아머 2 |
최대밝기 | 2600nits | 2600nits |
▪ 스피커
- 전작과 전혀 차이 없음(동일)
- 미세하게 음량이 좋아졌다는 일부 리뷰어들의 이야기가 있지만 이는 구조개선, 프로그램 차이인 듯
- 제품의 스펙, 사용 부품에는 차이 없음
제품명 | 갤럭시S25울트라 | 갤럭시S24울트라 |
헤드폰젝 | 없음 | 없음 |
특징 | AKG audioDolby Atmos | AKG audioDolby Atmos |
▪ 칩셋
- 전작의 퀄컴스냅드래곤 8 gen 3 for Galaxy에서 퀄컴 스냅드래곤 8 Elite for Galaxy로 변경
제품명 | 갤럭시S25울트라 | 갤럭시S24울트라 |
AP | 퀄컴 스냅드레곤 8 Elite for Galaxy [SM8750-AC] | 퀄컴 스냅드레곤 8 Gen 3 for Galaxy (SM8650-AC) |
CPU | 2x 4.5 GHz, 6x 3.53 GHz | 1x 3.4 GHz ARM Cortex-X4, 3x 3.15 GHz ARM Cortex-A720, 2x 2.96 GHz ARM Cortex-A520, 2x 2.27 GHz ARM Cortex-A520 |
CPU 코어 | 8개 (64 비트) | 8개 (64 비트) |
CPU 클럭 | 4,500 MHz | 3,400 MHz |
GPU | 퀄컴 Adreno 830 | 퀄컴 Adreno 750 |
▪ 벤치마크 성능 테스트
- 칩셋 변경으로 인해 전작 S24울트라 대비 약 30% 정도의 성능향상(?)
- 애플의 A18 Pro칩 대비 싱글코어는 미세하게 떨어지지만 멀티코어 성능에서 압도적인 차이를 보여주고 있음
- CPU성능 향상 : 싱글 약 34% / 멀티 약 38%
- GPU성능 향상 : 약 28%
- AI성능 향상 : 약 34%
- 전력효율 약 30%(보도자료 기준) : 문제는 전력효율이 향상되었지만 실제 사용 환경에서 삼성전자가 밝힌 동영상 재생시간 기준 전작의 최대 30시간 재생과 불과 1시간밖에 차이가 나지 않음
- 물론 기본 성능과 전성비 관계를 따졌을 때 실제 사용 시간과 차이가 날 수밖에 없지만 칩셋이 갖고 있는 성능차이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 삼성의 기술력이 아쉬울 따름
제품명 | 갤럭시S25울트라 | 갤럭시S24울트라 |
AP (Geekbench 6) |
싱글 2,100점 멀티 6,500점 |
싱글 3,200 멀티 10,500 |
GPU (3DMark Wild Life Extreme) |
14,000점 | 19,600점 |
AI (AI Benchmark) |
1,200점 | 1,800점 |
▪ 카메라
- 기본적인 카메라 센서 전작과 동일
제품명 | 갤럭시S25울트라 | 갤럭시S24울트라 |
센서 | Samsung HP2SX | Samsung HP2SX |
조리개 | F/1.7 | F/1.7 |
플래시 | LED | LED |
사진해상도 | 200 MP [mega(200 메가픽셀) | 200 MP (mega(200 메가픽셀) |
영상해상도 | 7680 x 4320 | 7680 x 4320 |
영상프레임 | 30 FPS | 30 FPS |
▪ 전면카메라
- 전작 S25울트라, 전작과 동일
제품명 | 갤럭시S25울트라 | 갤럭시S24울트라 |
사진해상도 | 12 MP | 12 MP |
영상해상도 | 3840 x 2160 | 3840 x 2160 |
영상프레임 | 60 FPS | 60 FPS |
▪ 후면카메라
- 기본적 하드웨어 변동 사항 없음
- 초광각 카메라만 변경
- 기존 1200메가 픽셀의 소니 IMX754 제품에서 5000메가 픽셀의 삼성 ISOCELL S5 KJN3로 교체
- 전반적인 성능은 전작과 차이가 없지만 초광각 카메라 화소 향상으로 실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시 결과물 관련 향상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
- 하지만 실제 카메라 사용 관련 조사에서 초광각 사용 비율은 전체 사진 및 영상물의 4%에 불과함
- 이번에도 역시 카메라 관련 혁신은 전혀 없었고 전작을 돌려 막기 한 수준으로 혁신보다는 원가절감에 중점을 둔 구성인 듯
제품명 | 갤럭시S25울트라 | 갤럭시S24울트라 |
메인(광각) | 200MP 삼성 아이소셀 HP2(1/1.3", 0.6μm-2.4μm) f/1.7, 23mm 센서 |
200MP 삼성 아이소셀 HP2(1/1.3", 0.6μm-2.4μm) f/1.7, 23mm 센서 |
초광각 | 50MP / 10MP 50MP 삼성 ISOCELL S5KJN3 센서(1/1.57", 1.0μm) |
50MP / 10MP 12MP 소니 IMX754(1/3.52", 1.12μm), f/2.4, 67mm |
망원 50MP/10MP |
50MP 소니 IMX854(1/2.52", 0.7-1.4μm) f/3.4, 111mm |
50MP 소니 IMX854(1/2.52", 0.7-1.4μm), f/3.4, 111mm |
▪ 배터리 관련
- 용량, 사용 배터리 전작과 동일
- 변경사항은 무선충전 속도가 기존 15W에서 25W로 상향된 정도
- 중국 스마트폰의 경우 최대 100W의 충전속도를 갖고 있는 제품도 출시되는 상황에서 프리미엄폰 점유율, 영업이익 절대강자 애플의 아이폰과 동일한 발걸음을 하는 것은 자만을 넘어서 오만에 가까운 행동이라고 판단함
- 현재 중국 스마트폰의 경우 리튬 폴리머, 실리콘 음극제를 사용한 차세대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음
- 가격은 리튬이온에 비해서 높지만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 높은 성능과 동일 부피에서 더 많은 용량 제작가능등의 장점에 힘입어 사용이 꾸준히 늘고 있는 상황
- 하지만 삼성은 여전히 리튬 이온 배터리를 고집하면서 혁신 없는 돌려 막기식 원가절감에만 치중하고 있는 상황
- 첨단화된 제품일수록 전기 사용량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언제까지 한 단계 낮은 성능의 저가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하는 이유를 이해하지 못하겠음
- 현재 삼성이 처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원가절감을 통한 영업이익 보전이 문제가 아님
- 정말 혁신적인 성능으로 글로벌 점유율, 프리미엄폰 점유율을 잠식하고 있는 중국 스마트폰 업체는 물론 절대강자 애플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판단함
제품명 | 갤럭시S25울트라 (256GB) | 갤럭시S24울트라 (256GB) |
용량 | 5,000 mAh | 5,000 mAh |
타입 | Li-Ion | Li-Ion |
특징 | 급속충전일체형 | 급속충전일체형 |
무선 충전 | 무선충전 지원 | 무선충전 지원 |
충전 속도 | 유선-45W 무선-25W |
유선-45W 무선-15W |
재생시간 | 비디오 재생 최대 31시간 | 비디오 재생 최대 30시간 |
▪ 네트워크
- 전작의 블루투스 5.2에서 5.3으로 변경
제품명 | 갤럭시S25울트라 | 갤럭시S24울트라 |
통신규격 | 5G | 5G |
블루투스 | 5.4 | 5.3 |
▪ 기타
- 변경사항 없음
제품명 | 갤럭시S25울트라 | 갤럭시S24울트라 |
USB 버전 | 3.2 | 3.2 |
생체인식 | 디스플레이 초음파 지문인식 | 디스플레이 초음파 지문인식 |
모바일결제 | 삼성페이 | 삼성페이 |
인증 | IP68 인증 | IP68 인증 |
삼성이 삼성을 패씽 갤럭시S25 시리즈 출시와 관련된 논란 경쟁력 없는 삼성 갤럭시S25 판매가
삼성 갤럭시 S25 시리즈 출시관련 논란들 삼성전자의 분위기가 상당히 좋지 않은 시점에서 삼성전자가 사활을 걸고 출시한 갤럭시 S25 시리즈 막중한 임무를 않고 출시되었지만 내외부 적으로
naver-knowledgein.tistory.com
갤럭시 S25 시리즈 VS S24 시리즈 간단 사양 비교, 차이점, 동일점 과장광고 삼성 갤럭시 S25 출시
갤럭시 S25 시리즈 ▪ 삼성전자에서 제조, 판매 중인 스마트폰 시리즈 ▪ 삼성 갤럭시 언팩 2025년에 공개 예정(2025년 1월 23일 : 한국시간 오전 3시)인 안드로이드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리즈 ▪
naver-knowledgei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