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청소기는?
• 각종 센서가 탑재되어 스스로 청소를 하는 인공지능 로봇 제품
• 정식 명칭은 '청소 로봇'이지만 통상 '로봇 청소기'로 불리는 가전제품
• 맞벌이 가정, 1인 가정에 특화된 제품으로 매년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는 제품군
샤오미 로봇청소기
▪ 샤오미의 생태계 협업 제조사(로보락, 라이드스토, 미지아, 샤오와 등)에서 제조한 로봇 청소기
▪ 해외 직구로 많이 구입했던 제품이었지만 대한민국에 정식 출시하면서 판매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제품
▪ 한국어 지원이 완벽하지 않지만 독보적인 가성비를 무기로 샤오미 계열 로봇청소기의 국내 판매량 및 점유율이 40%에 달 할 정로도 수요가 높은 제품
▪ 최근 출시 제품들은 사용 설명서나 제품에서 한국어 지원이 점점 강화되고 있는 상황
▪ "세대" 구분은 샤오미가 아니라 판매자들이 임의로 붙인 명칭인데, 샤오미와 샤오미생태기업 모두가 마구잡이로 제품을 쏟아낸 2022년 현재 시점에서는 족보가 완전히 꼬여버린 상황이므로, 그냥 참조용으로만 생각하는 것이 좋음
오류코드 | 원인 | 내용 | 해결방법 |
E1 | 충돌 센서 오류(레이저 센서 오류) | ▪충돌 센서가 먼지나 이물지로 인해 정상 작동 불가 |
▪상단의 센서를 부드러운 천을 이용해서 닦아줌 ▪문제가 지속될 경우 센서 손상(A/S센터) |
E2 | 장애물 회피 실패 (청소기 범퍼 감지 장애) |
▪청소기 주변 장애물로 인한 움직임 제한 ▪청소기가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되어 범퍼를 누르고 있는 상황 |
▪청소기 주변 물건이나 케이블등을 정리해 청소기 이동 경로 확보 ▪청소기 위치 옮김 ▪전면 범퍼부분 부드럽게 눌러 원상복구 및 움직임 확인 |
E3 (구형 E6) |
바퀴 회전 오류 | ▪본체 바퀴에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이 얽혀 회전 제한 |
▪바퀴에 얽혀있는 이물질 제거 |
E4 | 먼지통 오류 | ▪먼지통이 꽉 찼거나 제대로 장착되지 않았을때 |
▪먼지통을 꺼내 내부를 비운뒤 재 장착 ▪먼지통이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확인 |
E5 (구형 E4) |
배터리 부족 또는 충전 오류 | ▪배터리 잔량이 부족해 작동이 원활하지 않거나 멈춤 ▪청소기 충전 단자 접촉 불량 ▪배터리 문제 |
▪배터리 완충후 사용 ▪청소기 본체, 충전 스테이션 접촉 단자 청소 ▪문제가 지속될 경우 충전단자 또는 배터리 교체(A/S센터) |
E6 | 낙하 방지 센서 오류 | ▪청소기 하단의 낙하 방지 센서 오염 또는 고장 | ▪청소기 하단의 낙하 방지 센서의 오염을 제거 및 마른천으로 깨끗이 청소 후 사용 ▪단차가 있는 곳에서 청소기 이동 ▪문제가 지속되면 서비스센터 이용(A/S센터) |
E7 | 물걸레 모듈 오류 | ▪물걸레 모듈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 ▪물걸레 센서 오류 |
▪물걸레 모듈 분해 및 센서 청소(이물질 제거 및 마른천을 이용해서 청소) ▪문제가 지속되면 물걸레 센서 고장(A/S센터) |
E8 | 청소 경로 오류 | ▪청소기 이동 경로가 좁거나 장애물로 인한 오류 | ▪청소기 위치 바꿈 ▪주변 장애물 및 케이블등을 치운뒤 재사용 ▪앱을 이용해서 청소구간 재설정 |
E9 | 브러시 작동 오류 | ▪본체 브러시에 이물질 얽힘 | ▪브러시 분리 후 얽혀있는 이물질 제거 ▪브러시가 손상된 경우 교체 |
오류코드 원인 해결후 초기화 ▪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로봇청소기를 재부팅 ▪ 앱에서 장치 초기화 |
로보락 로봇청소기
▪ 중국의 로봇 청소기 및 가전기기 제작기업
▪ 샤오미 미지아 로봇청소기를 OEM생산하는 생태기업
▪ 현재 플래그십(프리미엄)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나르왈과 함께 압도적인 성능과 점유율을 갖고 있는 제품
▪ 대한민국 프리미엄 로봇청소기 점유율 1위의 제품
오류코드 |
원인 | 내용 | 해결방법 |
코드1 | 레이저 센서 오류 | ▪레이저 센서가 먼지나 이물지로 인해 정상 작동 불가 | ▪레이저 센서를 부드러운 천을 이용해서 닦아줌 ▪문제가 지속될 경우 센서 손상(A/S센터) |
코드2 | 장애물 회피 실패 (청소기 범버 장애) |
▪청소기 주변 장애물로 인한 움직임 제한 ▪청소기 전명 범퍼가 눌렸을 경우 |
▪청소기 주변 물건이나 케이블등을 정리해 청소기 이동 경로 확보 ▪눌린 범퍼를 확인하고 가볍게 눌러 범퍼 원상 복구 |
코드3 (구형 코드7) |
바퀴 회전 오류 | ▪본체 바퀴에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이 얽혀 회전 제한 | ▪바퀴에 얽혀있는 이물질 제거 및 청소 |
코드4 | 물걸레 모듈 오류 | ▪물걸레 모듈 오류 및 센서 오작동 | ▪물걸레 모듈 분리 및 재장착 ▪모듈 센서를 마른 천을 이용해서 깨끗이 청소 ▪증상 지속시 서비스센터 |
코드5 | 배터리 부족 또는 충전 오류 | ▪배터리 잔량이 부족 ▪청소기 충전 단자 접촉 불량 ▪배터리 문제 |
▪배터리 완충후 사용 ▪청소기 본체, 충전 스테이션 접촉 단자 청소 ▪문제가 지속될 경우 충전단자 또는 배터리 교체(A/S센터) |
코드6 | 진입 불가능 지역 | ▪심한 경사, 좁은 공간, 높은턱등으로 인해 청소기가 갇힌 경우 발생 | ▪청소기 위치 이동 ▪앱을 이용해서 이동제한 구역으로 설정 |
코드7 | 먼지통 오류 | ▪먼지통이 꽉 찾거나 미장착시 발생 | ▪먼지통 분리 및 내부를 비우고 장착 ▪먼지통이 제대로 장착 되었는지 확인 |
코드8 (구형 코드10) |
브러쉬 작동 오류 | ▪메인 브러시, 사이드 브러시에 먼지 및 이물질 | ▪브러시 분리 후 얽혀있는 이물질 제거 및 청소 ▪브러시가 손상된 경우 교체 |
코드9 | 청소기 고도 오류 | ▪청소기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질 위험이 있을 경우 ▪하단 센서가 고도를 잘못 인식했을때 |
▪청소기 위치를 이동 ▪청소기 하단 센서를 마른 천으로 닦아 인식 오류 방지 ▪문제가 지속되면 하단 센서 고장(A/S센터) |
오류코드 원인 해결후 초기화 ▪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로봇청소기를 재부팅 ▪ 앱에서 장치 초기화 |
삼성전자 로봇 청소기
▪ LG와 함께 세계 가전을 양분하는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로봇청소기 제품
▪ 로봇청소기의 시작은 대기업 제품이 아닌 중국산 저가형 제품에서 시작되었고 결국 대중화에 성공했고 삼성전자 역시 대중화에 힘 업어 로봇청소기를 출시함
▪ 높은 가격의 프리미엄을 내세우며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가성비와 신기술로 무장한 중국산 제품과 경쟁에서 고전하는 중
▪ 다만 LG와 달리 기본적인 성능은 충실했기때문에 LG와 달리 소비자들로부터 욕을 거의 먹지 않았음
▪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고급화되는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점점 프리미엄 제품군으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상황
오류코드 | 원인 | 내용 | 해결방법 |
C01 | 먼지통 오류 | ▪먼지통이 제대로 장착되지 않음 ▪먼지통 센서에 이상 발생 |
▪먼지통이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확인 ▪먼지통 내부 및 센서를 청소(센서에 먼지가 쌓이면 오류 발생) |
C02 | 브러시 작동 오류 | ▪메인 브러시에 이물질이 끼어 구동이 원활하지 않음 | ▪브러시에 얽혀 있는 이물질 제거 및 청소 ▪브러시 청소후 동일 증상인 경우 브러시 교체(A/S센터) |
C03 | 바퀴 오류 | ▪바퀴에 이물질이 끼어 구동이 제대로 안됨 | ▪바퀴에 얽혀 있는 이물질 제거 및 청소 ▪바퀴의 움직임이 매끄럽지 못하면 소량의 윤활유(재봉틀 오일등의 윤활유)를 도포 |
C04 | 센서 오류 | ▪충돌센서 및 낙하 방지 센서 이상 | ▪센서에 묻은 이물질 제거 및 마른 천으로 청소 ▪너무 어두운 곳에서는 센서 작동이 어려우니 밝은 곳에서 테스트 ▪동일 증상 발생시 서비스센터(A/S센터) |
C05 | 배터리 충전 오류 |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거나 충전 속도 느려짐 | ▪설치된 충전 도크의 수평 확인 및 전원 연결 상태 점검 ▪본체와 도크의 접촉단자 청소 ▪문제가 지속되면 배터리 교체(A/S센터) |
C06 | 흡입구 막힘 | ▪흡입구가 막혀 청소기 흡입력이 떨어짐 | ▪흡입구를 열어 내부 확인후 먼지나 이물질 청소 ▪필터가 막혀 있을 경우 흡입력 저하(필터 청소 또는 교체) |
C07 | 동작 불능 | ▪청소기가 작동하지 않음 | ▪전원 리셋 ▪배터리 충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삼성 SmartThings앱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증상이 지속되면 신속히 서비스센터 방문(A/S센터) |
C08 | 장애물 감지 오류 | ▪청소기가 장애물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거나 멈춤 | ▪청소기 주변 장애물이 될 만한 물건 및 케이블등을 치움 ▪장애물 감지 센서를 마른천을 이용해서 청소 ▪증상 지속시 센서 고장(A/S센터) |
C09 | Wi-Fi 연결 오류 | ▪청소기가 Wi-Fi에 연결되지 않음 | ▪앱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 확인 ▪청소기와 인터넷 공유기 또는 라우터를 재부팅후 연결 시도 ▪5GHz보다는 2.4GHz가 더 안정적임 |
C10 | 소음 문제 발생 | ▪평소보다 청소기 소음이 커짐 | ▪브러시 및 바퀴 점검(이물질 및 구동 소음) 및 청소 ▪흡입구 청소 ▪소음이 지속되면 모터 불량으로 판단하고 서비스센터 방문(A/S센터) |
▪간단한 문제는 위 방법을 통해 해결 가능 ▪지속적인 오류가 발생한다면 주변 삼성 서비스 센터에 방문해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것이 좋음 |
나르왈(NARWAL) 로봇 청소기
▪ 중국의 로봇청소기 제조 기업
▪ 혁신적인 직수 물걸레 자동 세척 기능을 최초로 도입한 제품
▪ 잔 고장이 적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제품으로 로보락과 더불어 프리미엄 제품군 판매량 순위를 다투고 있는 제품
▪ 제품별, 출시 시기별 오류코드 상이
▪ 전용앱을 이용해서 오류코드 대응
▪ 제품 성능은 좋지만 문제 발생시 처리 속도 및 방법에서 문제 발생(커뮤니티 불만 사항)
오류 코드 | 내용 | 방법 |
1001 | 네트워크 연결에 실패했습니다 | ▪ 로봇을 Wi-Fi 신호가 더 강한 위치로 옮겨주세요. |
1002 | 네트워크 연결에 실패했습니다. Wi-Fi 비밀번호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 ▪ 올바른 Wi-Fi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공백이 없는지 확인하세요. |
1003 | 네트워크 연결에 실패했습니다 | ▪ 네트워크 연결에 실패했습니다. 다시 시도하세요. |
1004 | 시스템 업데이트에 실패했습니다 | ▪ 시스템 업데이트에 실패했습니다. 로봇의 상단 덮개를 열고 전원 버튼을 눌러 다시 시작하세요. |
1005 | 로봇이 등록되었습니다 | ▪ 로봇이 등록되었습니다. 앱의 지시에 따라 메인 계정에서 사용자 신청서를 제출하세요. |
2001 | 매핑에 실패했습니다 | ▪ 매핑하기 전에 로봇을 다시 기지국에 넣어주세요. |
2002 | 매핑 오류 | 1. 로봇 주변의 장애물을 제거한 후, 열린 위치에서 다시 시작해주세요. 2. 로봇이 픽업되었습니다. 바닥에 놓고 재시작해 주세요. |
2003 | 매핑에 실패했습니다 | ▪ 로봇을 베이스 스테이션에 다시 넣고 홈 버튼을 길게 눌러 지도를 재구성하세요. 지도를 매핑하는 동안 로봇을 움직이지 마세요. |
2004 | 로봇이 갇혔습니다 | ▪ 로봇 주변의 장애물을 제거하고 새로운 위치에서 다시 시작하세요. |
2005 | 시스템 오류 | ▪ 시스템 오류입니다. 기지국의 플러그를 2분간 뽑은 다음 다시 꽂고 로봇을 다시 시작하세요. |
2006 | 지도 없음 | ▪ 지도가 생성되지 않았습니다. 홈 버튼을 길게 눌러 지도를 만들어 주세요. |
2007 | 기지국을 찾을 수 없습니다 | ▪ 기지국을 찾을 수 없습니다. 1. 로봇이 기지국을 찾을 수 없습니다. 로봇을 다시 기지국에 넣고 다시 시도하세요. 2. 기지국이 이동된 경우 로봇을 다시 기지국에 넣고 지도를 재구성해 주세요. 3. 로봇이 기지국으로 복귀하려 할 때 멈추는 경우, 장애물을 치운 후 로봇을 다시 기지국에 넣어주세요. |
2008 | 기지국 종료 실패 | ▪ 기지국 주변의 장애물을 제거한 후 시작 버튼을 눌러 작업을 계속하세요. |
2009 | 로봇은 출입 금지 구역에 있습니다. | ▪ 로봇이 진입 금지 구역에 있습니다. 진입 금지 구역에서 로봇을 옮기거나 지도를 다시 작성해 보세요. |
2011 | 매핑 시 로봇을 회수할 수 없습니다. | ▪ 현재 작업을 종료하고 로봇을 불러오려면 기지국의 오른쪽 버튼을 길게 누르세요. |
2012 | 청소하는 동안 지도를 만들 수 없습니다 | ▪ 현재 작업을 종료하려면 기지국의 오른쪽 버튼을 길게 누르고, 로봇을 기지국으로 다시 불러들이려면 홈 버튼을 길게 누르세요. 지도를 다시 작성하려면 홈 버튼을 길게 누르세요. |
2013 | 로봇이 매핑 중일 때는 작업을 반복하지 마십시오. | ▪ 현재 작업을 종료하려면 기지국의 오른쪽 버튼을 길게 누르고, 로봇을 기지국으로 다시 불러들이려면 홈 버튼을 길게 누르세요. 지도를 다시 작성하려면 홈 버튼을 길게 누르세요. |
3001 | 사이드 브러시 오작동 | ▪ 측면 브러시에 얽힌 부분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측면 브러시로 교체하세요. |
3002 | 쓰레기통을 설치해주세요 | 1. 필터 및 내부 필터 브라켓의 상태가 양호하고, 먼지통이 제대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2. 쓰레기통의 자석이 정상적인지 확인해 주세요. 3. 청소 후크를 먼지통을 감지하는 위치에 놓은 후 진공 청소 작업을 시작하세요. |
3003 | 먼지통, 필터, 통풍구를 확인해 주세요. | 1. 먼지통이 가득 찼다면 비워주시고, 내부 필터가 먼지통에 여전히 있는지 확인하세요. 2. 앱에서 고고도 모드를 활성화합니다: <기기 - 추가 기능 - 고고도 모드> 3. 세척 후 필터와 먼지통이 완전히 말랐는지 확인하세요. |
3004 | 매핑하기 전에 진공 모듈을 설치하세요. | ▪ 매핑하기 전에 진공 모듈을 설치하세요. |
3005 | 청소 전 진공 모듈/청소 모듈을 설치해 주세요. | 1. 진공 청소/물걸레질 모듈이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하세요. 2. 진공/청소 모듈 뒷면의 자석이 여전히 작동하는지 확인하십시오. (청소 후크는 자석이므로 모듈의 자석이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하십시오.) 3. 진공 청소/물걸레질 모듈을 제거한 후 로봇을 다시 시작합니다. 4. 로봇을 재설정하세요. |
3006 | 배터리 전원이 부족합니다 | ▪ 로봇의 배터리 전원이 20% 미만이면 자동으로 기지국으로 돌아가 충전하고 작업을 계속합니다. |
3007 | 배터리 전원이 부족합니다 | ▪ 로봇의 배터리 전원이 충분해질 때까지 작업을 시작하세요. |
3008 | 로봇이 픽업되었습니다 | ▪ 절벽 센서를 닦고 로봇을 바닥에 놓은 후 다시 시작하세요. |
3009 | Lidar를 확인해 주세요 | ▪ 라이더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제거해 주세요. |
3010 | 범퍼를 확인해 주세요 | ▪ 범퍼가 정상적으로 반동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
3011 | 절벽 센서 오류 | 1. 고도 센서를 닦아 주세요. 2. 1단계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떨어질 위험이 없다면 앱에서 "낙하 방지" 모드를 비활성화하고 다시 시도하세요: <기기 - 추가 기능 - 낙하 방지 모드> |
3012 | 강력한 자기장 환경 속의 로봇 | 1. 로봇이 특정 위치에서 이 오류를 보고하는지 확인하세요. 2. 로봇의 진공/청소 모듈을 제거하고 1분 동안 로봇을 끄고 다시 시작하여 작동하는지 확인하세요. |
3013 | 배터리 오작동 | ▪ 배터리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잠시 기다렸다가 배터리가 정상 온도로 돌아온 후 로봇을 다시 시작하세요. |
3014 |
벽센서 오류 | ▪ 벽 센서를 닦은 후 로봇을 다시 시작하세요. |
3015 | 진공 모터 고장 | 1. 먼지통을 청소하고 세척 후 필터와 먼지통이 완전히 말랐는지 확인하세요. 2. 앱에서 고고도 모드를 켜고 다시 시도하세요: <기기 - 추가 기능 - 고고도 모드> |
3016 | 타이어 고장 | 1. 타이어를 회전시켜서 정상인지 확인해 보세요. 2. 타이어에 이물질이 끼어있는지 확인하고 청소해 주세요. |
3017 | 기지국 오버플로 | 1. 폐수탱크가 파손되었는지 확인하세요. 2. 폐수 탱크가 고장나지 않았고 기지국 바닥에 거품이 많이 있는 경우, 폐수 탱크를 청소하고 센서를 닦은 다음 폐수 탱크 대신 고무를 확인하십시오. 기지국의 플러그를 뽑았다가 다시 꽂아서 작동하는지 확인하십시오. 작동하면 세제 시트를 너무 많이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3. 기지국 바닥에 물이 없을 경우 센서를 닦아서 작동하는지 확인하세요. 4. 기지국 하단에 물이 있고 폐수 탱크가 물을 펌핑할 수 없는 경우 이 문제에 대한 비디오와 SN 및 앱 ID를 support@narwal.com으로 보내주십시오. |
3018 | 깨끗한 물탱크를 확인해 주세요 | 1. 깨끗한 물탱크에 물이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2. 깨끗한 물탱크 배출구 고무가 양호한지/빠지지 않았는지 확인하세요. 3. 깨끗한 물탱크의 파이프가 단단히 설치되었는지 확인하세요. 4. 필터 스펀지가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하세요. 5. 도구를 사용하여 깨끗한 물탱크 배출구에 물을 약간 짜낸 후 다시 걸레질 작업을 시작하여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6. 기지국의 플러그를 2분간 뽑았다가 다시 꽂아보세요. |
3019 | 폐수탱크를 확인해 주세요 | 1. 폐수 탱크가 깨끗한지 확인하십시오. (매번 걸레질 후 탱크를 청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표시기 플로트(폐수 탱크 내)의 자석이 작동하는지 확인하세요. 3. 기지국의 플러그를 2분간 뽑았다가 다시 꽂으세요. |
3020 | 세탁판을 확인해 주세요 | 1. 세탁판이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해 주세요. 2. 세탁판의 자석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없어졌는지 확인해 주세요. 3. 기지국의 플러그를 2분간 뽑았다가 다시 꽂으세요. |
3022 | 기지국 오류 | ▪ 기지국의 플러그를 뽑고 충전 전극을 닦은 후 다시 플러그를 꽂아주세요. |
LG로봇청소기 이상증상 및 해결방법 LG전자 오브제컬렉션 코드제로
로봇청소기? • 각종 센서가 탑재되어 스스로 청소를 하는 인공지능 로봇 제품 • 정식 명칭은 '청소 로봇'이지만 통상 '로봇 청소기'로 불리는 가전제품 • 맞벌이 가정, 1인 가정에 특화된 제
naver-knowledgein.tistory.com
샤오미 스마트폰, 가전제품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 가성비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 우려 심각
샤오미는? ▪ 2010년 4월 6일 설립된 중국의 전자제품 제조 및 판매 기업 ▪ 2014년경부터 가격대비 성능이 좋은 가성비를 앞세워 알려지기 시작 ▪ 2025년 현재 스마트폰 전 세계 2위 기업 ▪ 전
naver-knowledgein.tistory.com
'모바일IT기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이 삼성을 패씽 갤럭시S25 시리즈 출시와 관련된 논란 경쟁력 없는 삼성 갤럭시S25 판매가격 동결했지만 어두운 전망 곪아버린 삼성 조직문화 (4) | 2025.01.24 |
---|---|
갤럭시 S25 시리즈 VS S24 시리즈 간단 사양 비교, 차이점, 동일점 과장광고 삼성 갤럭시 S25 출시가격 동결? 인상! 램크루지삼성 (1) | 2025.01.22 |
LG로봇청소기 이상증상 및 해결방법 LG전자 오브제컬렉션 코드제로 (9) | 2025.01.18 |
샤오미 스마트폰, 가전제품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 가성비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 우려 심각 (11) | 2025.01.17 |
갤럭시 Z폴드 스페셜 에디션 vs 갤럭시 Z폴드6 차이점 비교 삼성이 몰락할수 밖에 없는 이유 (18)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