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 부동산 관련35 단열벽지 정말 효과 있을까? 단열벽지 장점, 단점, 셀프시공, 과장과대광고에 속지 말자! 정말 무더웠던 올해 여름이 가고 완연한 가을이 돌아왔습니다.부쩍 쌀쌀해진 기온으로 벌써부터 겨울을 준비하는 이 시기에 단열벽지와 관련해서 궁금하신점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시공이 간편한 셀프시공, 다양한 디장인, 우수한 단열성능, 결로차단 및 곰팡이방지까지...'인터넷에 돌아다니는 홍보성 글들을 보면서 더 이상 소비자가 이런 홍보성 글에 속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으로 이번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개인적으로 경험했던 내용도 포함하고 있으니 잘 읽어보시고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단열벽지란? 기존 홈쇼핑에서 판매되고 있던 폼블록이란 셀프단열 제품의 대체제 개념으로 2013년부터 대한민국에서 판매되기 시작된 벽지입니다. 알루미늄필름을 부착시켜 보온효과 및 단열성, 소음차단, 결로방지, 열반사등의 기능을.. 2024. 10. 4. 창호 종류별 단열, 문과 창호 열관류율표, 건물 부위별 열관류율표 단열에서 문과 창호의 중요성 건축물에서 문과 창호는 거주인원과 각종 용품의 이동 및 채광, 환기, 시야확보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구조물입니다. 지역과 환경에 따라 문과 창호는 위치와 크기, 숫자, 소재등에서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특히 문과 창호는 대부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거주자를 보호해 주는 벽체 구조물에 비해 두께와 강성, 내구성등이 부족합니다. 특히 단열성능을 봤을때 창호의 경우 제작되는 소재의 특성상 구조물에 사용되는 건축재료에 비해서 열교값이 높아서 단열성이 낮은 편입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창호의 크기와 위치등에 따라 태양열을 건축물 안으로 들여오는 역할도 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와 계절, 건축물의 단열성능, 건축물의 심미적인 디자인 결정등에 많은 고민이 필요한 것이 사실입니다. .. 2024. 10. 4. 열관류율과 단열재 등급표, 지역별 단열재 설치기준, 단열재 종류별 등급 열관류율 열관류에 의한 관류 열량의 계수로써, 전열의 정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합니다. 즉, 정상 상태에서 고체벽을 사이에 유체 간의 단위 면적을 통하여 단위 시간에 이동하는 열량 Q는 두 유체의 온도차 (t1-t2)에 비례하고, Q=K(t1-t2)㎉/㎡h℃로 표시되게 됩니다. 이 식 중의 비례 정수 K(㎉/㎡h℃)를 열관류율 또는 열통과율이라고도 합니다. 즉, 쉽게 설명하면 건축물이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이 얼마나 잘 통과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고 열관류율이고 수치가 적을수록 열이 적게 통과되어 건축물 내부의 열을 외부로 빼앗기지 않아 단열성이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단열재별 단열등급 분류 및 종류 단열재의 종류와 각 단열재의 단열등급, 관련 표준등을 나타낸 도표입니다. 등급분류열전도율의 범위(KS.. 2024. 10. 3. 스타코 마감과 드라이비트 차이점은? - 가성비 드라이비트 시공 드라이비트란? 드라이비트라는 것은 사실 마감 공법이 아닌 제품 브랜드명입니다. 우리가 스테이플러를 호치키스, Slide fastener를 지퍼라고 부르는 것처럼 상표명이 보통명사로 바뀐 케이스입니다. 드라이비트 대한민국 유래 드라이비트는 1940년대 독일의 외단열 시스템으로 개발되었고 그것이 전 유럽으로 확산되었습니다. 1960년대에 합성 폴리머의 기능과 성능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면서 기존 드라이비트의 성능개량에 일조했습니다. 이후 1970년대 드라이비트는 미국으로 전파되어 우리가 알고 있는 드라이비트(Dryvit) 사가 전용 상품을 개발했고 이게 널리 퍼져 목조주택 외단열 및 마감에 있어서 가장 많이 시공되고 이용되게 되었습니다 이후 국내에 1987년 효성에서 드라이비트사와 기술제휴를 맺고 합작사.. 2024. 10. 3. 스타코 마감의 특징 및 장점, 단점 / 점점 줄어들고있는 스타코 시공 스타코의 의미 사실 스타코라는 명칭은 자재 명칭이나 브랜드 명이 아닌 석회를 원자재로 한 미장재를 건물 외벽이나 내벽에 기법을 주면서 질감을 내는 시공방법을 말합니다. 공식적인 명칭은 'EIFS' 외단열 미장 마감 공법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말하는 스타코는 스타코 플랙스 또는 스타코 플랙스의 카피제품 및 기타 마감재를 통해 건물 외장 마감 시공을 지칭합니다. 스타코의 종류 및 특징 일반 스타코, 스타코 플렉스, 안티코 스타코, 시멘트 스타코등이 있습니다. 구분특징스타코 플렉스▪ 미국 제품으로 100% 특수 아크릴폴리머 제품으로 제조한 마감재▪ 신축성이 매우 높은 제품으로 마감 시공후 마감한 외벽에 크랙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 제품에 포함된 규사는 ‘칼슘 샌드 규사’로 입자 모양이 사각형이.. 2024. 10. 3. 흑관, 컬러각관, 아연각관의 특징 및 장단점, 사용하는 곳 각관은 무엇인가요? 산업용은 물론 일상에서 주로 사용하는 제품에도 두루두루 사용되고 있는 강관은 속이 비어있는 형태의 철봉을 의미합니다. 제조 시 원형모양의 강관이나 사각형으로 제조된 각관의 형태가 있습니다. 각관은 사각형 모양의 철로 된 봉을 의미합니다. 각관의 종류 • 각관은 단면에 따라 원형강광, 각형강관으로 나뉩니다. • 후가공 방법에 따라 흑관(강관), 컬러각관, 아연도금각관(아연각관)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구분종류단면에 따른 분류 • 원형강관(단면이 원형) • 각형강 (단면이 사각형)후가공 방법으로 분류 • 흑관 • 컬러각관• 아연도금각관(백관) 흑관(강관) 특징과 장단점, 주 사용처 • ‘열간 압연 강판 판재’를 원형으로 제작된 제품이고 부식방지를 위해 표면에 기름칠 또는 진.. 2024. 10. 3.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