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거위소리 낼 때 / 역재채기(리버스 스니징) 또는 기관지 협착증

강아지가 '꺽꺽'소리를 낼 경우
▪ 키우던 강아지가 갑자기 ‘꺽꺽’ 소리를 낼 때가 종종 발생합니다.
▪ 보통은 금방 멈추지만 때로는 지속해서 이런 소리를 내며 호흡하는데 힘들어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 그렇다면 왜 이런 증상이 생기는 걸까요?
▪ 크게 두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리버스 스니즈(Reverse Sneeze)
▪ 일명 역 재채기를 하는 경우입니다.
▪ 보통 코나 입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꺽꺽’ 되는 거위 같은 소리를 내면서 코와 입을 통해서 공기를 내뱉습니다.
▪ 또한, 너무 흥분해서 과호흡했을 때도 비슷한 방법으로 공기를 배출합니다.
▪ 이런 현상은 크게 문제 될 것이 없으므로 보호자께서는 당황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 다만 이물질이 들어가서 그것을 제거하는 행동을 하는데 제거가 잘 안 된다면 반려견으로서 매우 곤란할 수 있으니 이런 경우에는 동물병원에 방문하셔서 이물질을 제거해 주시면 됩니다.
기관지 협착증
▪ 거위 소리를 내는 대표적인 강아지 질환이 기관지 협착증(기관 허탈)이라는 질병입니다.
▪ 기관지 협착증이란 기관지 내부의 공기 통로인 연골이 약해지면서 기관지 내부 공간이 제대로 부풀어 오르지 않고 납작해지며 공기의 통로가 좁아져서 호흡에 문제가 생기는 질병입니다.
▪ 보통 포메라니안, 말티즈, 푸들, 치와와 등의 소형견종 에게서 많이 발병하는 호흡기 대표 질환입니다.
기관지 협착증의 증상
▪ 거위 소리를 닮은 ‘꺽꺽’ 이는 소리를 내며 역 재채기를 합니다.
▪ 역 재채기를 하다가 구역질을 할 수 있습니다.
▪ 콧물, 발열, 거친 호흡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산소가 부족해져서 혓바닥 색상이 푸르게 변하는 청색증 증상을 보입니다.
▪ 심각한 경우 기절을 할 수 있습니다.
기관지 협착증의 원인
▪ 보통 원인을 특정하기가 매우 곤란한 질병 중 하나입니다.
▪ 보통 선천적 유전으로 발병할 수 있습니다.
- 소형견종들의 경우 유전적으로 칼슘, 콘드로이틴,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뼈, 연골 등 관절을 지원하는 요소들이 결핍되어 태어날 때부터 선천적으로 발생할 확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심장병으로 인해 발병할 수 있습니다.
▪ 비만으로 인해 발병할 수 있습니다.
▪ 노령견에게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영향 결핍으로 인해서 발병할 수 있습니다.
▪ 흡연자와 함께 생활하는 강아지에게서 발병할 확률이 높습니다.
기관지 협착증의 단계
기관지 협착증은 증상과 상황에 따라서 총 4단계로 구분하고 정도가 심해질수록 자주 발생하며 아이가 많이 힘들어합니다.
▪ 1단계
기관 내 호흡 관련 공간 25% 이하 감소 – 호흡관인 연골은 원형을 유지
▪ 2단계
기관 내 호흡 관련 공간 50% 이하 감소 – 호흡관인 연골이 타원형으로 납작해짐
▪ 3단계
기관 내 호흡 관련 공간 75% 이하 감소 – 호흡관인 연골이 아주 납작해짐
▪ 4단계
기관 내 호흡 관련 공간 90% 이상 감소 – 기관 내부 공간이 거의 막혀있고 연골 역시 거의 붙다시피 납작해진 수준
기관지 협착증 진단
거위 소리는 내는 현상의 경우 심장병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반드시 동물병원을 통해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X-레이
- 엑스레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숨을 들이쉴 때의 사진과 내뱉을 때의 사진을 비교해서 기관의 모양을 보고 진단합니다.
- 하지만 협착증의 정도를 판단하기에는 부족합니다.
▪ 기관지경 이용
- ‘기관지경’을 통해서 기도의 모양을 시각화하고 기관 협착의 정도와 위치를 특정할 수 있습니다.
▪ 방사선 촬영 및 CT 촬영
-가장 확실하게 기관의 모양과 위치, 협착증 단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다만 비용적으로 무척 고가의 진단방법이라는 것이 가장 큰 걸림돌입니다. 물론 스텐스 수술을 진행할 경우에는 반드시 진행되는 방법입니다.
기관지 협착증 치료
▪ 내과적인 치료
- 기침 억제제, 기관지 확장제, 항염증제, 항생제, 강아지용 네블라이저를 이용해서 상태를 호전시키고 협착증 단계의 발전을 막습니다.
▪ 외과적 치료
- 기관 스텐트(Tracheal Stent)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 이는 숨을 쉴 수 있는 기관의 연골을 확장하는 수술방법입니다.
- 수의사의 실력을 많이 요구하는 수술이기 때문에 반드시 수술을 잘 하는 곳을 알아보고 진행하셔야 합니다.
▪ 하네스 착용
- 치료를 진행할때 가급적 호흡에 무리를 줄 수 있는 목줄대신 하네스를 이용해서 호흡에 부담을 주지 말아야 합니다.
글을 마치며
▪ 평소에 아이에게 많은 관심을 주시고 아이가 아프면 지체하지 마시고 반드시 동물병원에 가셔서 진료를 받아 보시고 더 큰 아픔이 오기 전에 치료해 주시길 바랍니다.
▪ 속된 표현으로 당장 돈 몇 푼 아끼려고, 귀찮아서 아이를 내버려 두면 나중에 아이도 힘들어지고 보호자도 힘들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과 외출할 때 주의사항 - '동물보호법' 관련 (0) | 2023.05.01 |
---|---|
동물보호법 시행 규칙관련 주의사항 (0) | 2023.05.01 |
강아지 신발 신기지 마세요! (0) | 2023.04.18 |
강아지 유선종양의 모든 것(원인, 증상, 진단, 치료방법, 비용, 예방법) (1) | 2023.04.14 |
강아지 똥(대변)으로 건강 신호 확인하기 (0) | 2023.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