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 대체 감미료 수크랄로스(sucralose) 수크랄로스 장점과 단점, 논란 수크랄로스 2형 당뇨 제로칼로리 제로당 수크랄로스 안정성 및 부작용
목차
1. 수크랄로스(sucralose)란 무엇인가?
▪ 정의 및 기본 정보
▪ 주요 사용 분야
▪ 안전성 논란의 배경
2. 수크랄로스(sucralose)의 주요 특징 및 장점
▪ 압도적인 감미도
▪ 뛰어난 안정성
▪ 극히 낮은 칼로리(제로 칼로리)
▪ 혈당에 미치는 영향 미미
3. 수크랄로스(sucralose)의 발견 비화
4. 수크랄로스(sucralose) 관련 논란
▪ 장내 미생물 균형 변화 가능성
▪ 약물 저항성 및 대사 영향 가능성
▪ 인슐린 감수성 저하 및 2형 당뇨병 위험 증가 가능성
▪ 단맛에 대한 갈망 증가 가능성
▪ 열에 대한 불안정성 논란
5. 수크랄로스 1일 섭취허용량(ADI) 및 안전성 평가
▪ 국가별 일일 섭취 허용량(ADI)
▪ 국제 기구 (JECFA 등)의 안전성 평가
▪ 실제 섭취량과의 비교 분석
6. 결론 및 주의사항
▪ 균형 잡힌 섭취의 중요성
▪ 개인별 주의 사항 (기저 질환, 약물 복용 등)
▪ 식품 선택 시 주의 사항
▪ 향후 연구 방향
수크랄로스(sucralose) 개요
▪ 수크랄로스는 설탕의 600배에 달하는 강력한 단맛을 내는 인공 감미료
▪ 설탕 분자에 염소를 치환, 즉 설탕에 염소를 반응시켜 생산함
▪ 열, 빛, pH 변화에 안정적이며 제로 칼로리(kcal)란 특성 덕분에 다양한 식품, 특히 견과류, 껌, 음료, 가공 유제품, 설탕 대체 식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
▪ 열에 강하기 때문에 고온 가열 살균이 필요한 레토르트 식품이나 통조림에도 사용 가능한 감미료
▪ 하지만 수크랄로스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여러 논란이 존재하는 감미료 중 하나임
1. 수크랄로스(sucralose)란 무엇인가?
▪ 설탕을 통해 만들어지는 고강도 감미료
▪ 설탕 분자에 특정 수산기를 염소 원자로 치환하는 과정을 거처 생산됨
▪ 이렇게 생산된 스크랄로스는 강한 단맛을 내며 체내에 거의 흡수가 되지 않는 특성이 있음
▪ 이러한 특성 덕분에 칼로리가 거의 없고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미하여 설탕 대체 감미료로 폭넓게 사용 중
2. 수크랄로스(sucralose)의 주요 특징 및 장점
▪ 압도적인 감미도
- 동일 무게에서 설탕보다 약 600배 더 강한 단맛을 내기 때문에 극소량으로도 충분하게 단맛을 구현 가능
- 설탕대신 단맛을 내는 감미료로 사용할 경우 설탕, 즉 당 섭취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의 제품임
▪ 뛰어난 안정성
- 열, 빛, pH변화에 매우 안정적으로 다양한 식품 가공 상황에서도 단맛을 유지함
- 특히 고온 처리가 요구되는 식품 제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 중
▪ 극히 낮은 칼로리(제로 칼로리)
- 체내 흡수가 거의 되지 않고 섭취 후 대부분 체외로 배출되는 특성으로 칼로리가 거의 없음
- 이는 체중조절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요소임
▪ 혈당에 미치는 영향 미미
- 섭취후 체내에서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물질
- GI 지수(Glycemic Index, 혈당 지수) 0(제로)으로 혈당수치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음
- 당뇨환자, 비만환자등 당분에 대한 고위험군에게 설탕의 대체재로 단맛을 느끼면서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설탕대체 제품임
3. 수크랄로스(sucralose)의 발견 비화
▪ 수크랄로스는 매우 우연한 상황으로 발견된 감미료
▪ 원래 수크랄로스는 살충제에 넣으려는 화학성분이었음
▪ 1976년 화학자 샤쉬칸트 파니스(Shashikant Phadnis)가 실험도중 test(시험하라)라는 말을 taste(맛보아라)로 잘못 듣고 수크랄로스를 맛보았는데, 거기서 강한 단맛이 나는 것을 우연히 발견하게 되며 세상에 알려짐
4. 수크랄로스(sucralose) 관련 논란
한국을 비롯한 미국, 일본, EU, 중국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안정성을 인증받아 정식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일부 연구 결과에서 수 크랄로 이 안정성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음
▪ 장내 미생물 균형 변화 가능성
- 일부 연구에서는 수크랄로스 섭취가 장내 유익균의 감소를 초래하여 장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내놓음
- 하지만 이러한 연구는 주로 동물 실험이나 시험관 내 실험에 기반하고 있으며, 인체에 직접적인 실험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임
▪ 약물 저항성 및 대사 영향 가능성
- 수크랄로스가 약물 저항성을 증가시키거나 특정 약물 대사 효소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
- 특히 항암 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우, 연구결과에 따른 약물 저항 가능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에 섭취 시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한 뒤 섭취하는 것이 좋을 듯
▪ 인슐린 감수성저하 및 2형 당뇨병 위험증가 가능성
- 탄수화물과 함께 수크랄로스를 섭취할 경우, 단맛에 대한 인체의 반응이 변화하여 인슐린 감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연구도 있음
- 이는 장기적으로 2형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 연구 결과가 발표됨
- 이 연구 결과는 수크랄로스뿐 아니라 인공감미료가 첨가된 모든 식품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인공감미료가 포함된 식품 섭취 시 탄수화물 함량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혹시 모를 2형 당뇨로부터 수크랄로스를 포함한 인공감미료를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이라 판단됨
▪ 단맛에 대한 갈망 증가 가능성
- 인공 감미료가 오히려 단맛에 대한 욕구를 증가시켜 과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상황
- 이 주장에서 체중 조절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부정적인 주장을 하고 있음
▪ 열에 대한 불안정성 논란
- 수크랄로스가 열에 안정적이라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고온에서 유해 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됨
-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
5. 수크랄로스(sucralose) 1일 섭취허용량(ADI) 및 안전성 평가
▪ EU에서 1일 섭취허용량(ADI)을 체중 1kg당 15mg으로 규정
▪ 미국에서 1일 섭취허용량(ADI)은 체중 1kg당 5mg으로 규정
▪ 대한민국은 EU와동일한 1kg당 15mg으로 1일 섭취허용량(ADI)을 규정
▪ 국내기준 탄산음료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가진 음료가 140mg/kg으로 이 음료를 기준으로 할 경우 60kg 성인이 하루 6.4L를 마셔야 허용량에 도달하고 미국 기준으로 해도 2.1L 마셔야 할 정도로 일반적인 섭취에서는 허용량을 넘길 일이 절대로 일어나지 않음
▪ JECFA(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를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에서도 수크랄로스가 인체에 안전한 첨가물임을 인정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1일 허용섭취량 이내로 섭취할 경우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음
6. 결론 및 주의사항
▪ 수크랄로스는 설탕을 매우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지만, 모든 식품과 마찬가지로 적정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됨
▪ 특히 장 건강에 문제가 있거나 특정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또는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에는 섭취 전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을 듯
▪ 식품 구매 전 식품의 성분 표시를 꼼꼼히 확인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혹시 모를 부작용등의 문제에서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판단됨
▪ 여러 논란이 있기 때문에 현재에도 수크랄로스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수크랄로스 관련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개인의 상황에 맞게 섭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됨
‘제로슈가’ 제품의 배신, 혈당을 높이는 숨겨진 성분들, 진정한 ‘제로슈가’ 제품 선택 가이
목차소비자를 기만하는 ‘제로슈가’ 제품1. 숨겨진 혈당 상승 요인2. 영양성분표의 허점 - 당류 표기의 비밀3. ‘제로슈가’ 제품 분석 - 대표적인 혈당 상승의 주범은?• 폴리글리시톨 시럽•
naver-knowledgein.tistory.com
스테비아 믹스커피 허위 과장 광고 혈당상승 스테비아 커피믹스 안전한 당제로 스테비아 커피
스테비아 커피믹스 ▪ 단맛을 설탕대신 스테비아를 넣어 단맛을 내는 커피 ▪ 비만, 당뇨환자등 당 섭취에 민감한 사람들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설탕을 대체해서 단맛을 내는 스테비아
naver-knowledgein.tistory.com
한국소비자원 제로 음료 14종 시험 결과 제로 음료 혈당, 감미료, 카페인 함량 및 안전성 제로
한국소비자원 제로음료 14개 제품 시험 검사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로 슈거', '무설탕'을 표방하는 제로 음료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음. 2023년 대한민국 제로 음료 시장 규모는
naver-knowledgein.tistory.com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슈가’ 제품의 배신, 혈당을 높이는 숨겨진 성분들, 진정한 ‘제로슈가’ 제품 선택 가이드 (4) | 2025.02.01 |
---|---|
항생제 내성 문제의 심각성 독감 대유행에 어린이 항생제 사용량 폭증 조용한 펜데믹 항생제 내성 문제 (0) | 2025.01.29 |
설탕 대체 감미료 에리스리톨(Erythritol) 에리스리톨 제로당 에리스리톨 특징 에리스리톨 부작용 대체당 에리스리톨 (1) | 2025.01.27 |
당알코올 이란? 설탕 대체 감미료 당알코올 당알코올의 종류 당알코올의 특징 당알코올의 안정성 및 부작용 (0) | 2025.01.27 |
RSV, RS바이러스 감염증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증상, 고위험군, 치료방법, 예방, 경과 RSV 아스피린 사용하면 위험 (0) | 2025.01.21 |
댓글